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아침 식사 어떻게? 공복에 나쁜 음식 vs 좋은 음식

김용 입력 2022. 03. 23. 08:22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침 식사는 장시간의 공복 상태에서 먹는 첫 음식이다. 야식을 먹지 않았다면 12시간 이상 빈속을 유지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위장이 거의 비어 있어 위 점막이 민감해 있다. 위산의 과다 분비로 속쓰림이 심한 사람도 있다. 아침 식사로 나쁜 음식과 좋은 음식에 대해 알아보자.

1) 아침 공복에 나쁜 음식

◆ 베이컨, 소시지, 햄 등 가공육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들을 분류해 발표하고 있다. 1군(group 1) 발암물질은 발암성이 '충분히 입증'된 경우다. 이 1군에 베이컨, 소시지, 햄 등 가공육이 포함되어 있다. 세계암연구기금과 미국암연구소(WCRF/AICR)도 가공육 섭취는 대장암 위험을 높이는 '확실한 위험요인'으로 구분하고 있다. 발암물질 섭취량이 늘어나면 위 점막의 정상세포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암세포가 생길 수 있다. 아침 공복 상태의 위 점막은 더욱 취약하다는 것을 염두에 두자.

◆ 커피

아침 기상 직후 빈속에 진한 커피부터 마시는 사람이 있다. 졸음이 확 깨는 장점은 있지만 위 점막에는 최악이다. 특히 위염이나 위궤양이 있으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커피의 카페인 성분 등이 위 점막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아침에 커피를 마실 경우 어느 정도 음식을 먹은 후 후식으로 먹는 게 안전하다.

◆ 소금에 절인 음식

아침 식사로 밥을 고수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 때 젓갈 등 소금에 절인 반찬은 위는 물론 고혈압 관리에 좋지 않다. 특히 젓갈을 좋아해 많은 양을 먹으면 공복 상태의 위에 좋지 않다. 나트륨 성분도 빠르게 흡수된다. 된장국 등 국도 너무 짜다면 위, 혈압, 심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과자 등 가공식품

아침 식사를 과자 등 가공식품으로 대신하는 사람이 있다. 아침은 가급적 자연그대로의 천연식품이 좋다. 공장에서 만든 가공식품에는 트랜스지방, 포화지방이 많이 든 제품들이 있을 수 있다. 살이 찌고 혈액 속에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을 높여 혈관질환 위험을 증가시키는 성분들이다. 아침 빈속에는 이런 성분들이 흡수가 잘 된다.

◆ 담배

담배는 기호식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흡연 습관 중에서도 아침 기상 직후 빈속에 피우는 담배가 최악이다. 담배 속의 수많은 발암물질들이 텅 빈 상태의 위의 점막에 쉽게 들러붙어 암세포가 움트게 할 수 있다. 위암의 최대 위험요인 중의 하나가 바로 흡연이다. 췌장암도 위험도 1순위가 담배를 피우는 것이다.

2) 아침 공복에 좋은 음식

기상 직후에는 일단 물을 마셔야 한다. 공복에는 자극이 덜한 미지근한 물이 좋다. 자는 동안 수분 부족에 시달린 혈액은 끈끈해져 심장병, 뇌졸중 등 혈관질환이 악화할 수 있다.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돌연사가 많은 것은 이와 관련이 있다. 축 처진 신진대사도 끌어올리기 위해 물부터 마셔야 한다. 이후 위 점막을 보호하는 비타민 U가 풍부한 양배추나 브로콜리를 먹는 게 좋다. 식이섬유도 많아 혈당을 내리고 변비에도 도움이 된다.

단백질 보충을 위해 삶은 달걀도 먹을 수 있다. 전날 몇 개 삶아 놓으면 껍질만 까서 먹을 수 있어 바쁜 아침에 매우 간편하다. 혈액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호두 등 견과류도 좋다. 사과는 식이섬유가 많아 아침 배변 활동에 도움이 된다. 이밖에 통밀빵, 요구르트 등 유제품을 추가할 수 있다. 질 좋은 탄수화물이 많은 통밀빵은 오전 두뇌활동을 돕는다. 물론 이런 음식을 모두 식탁에 올릴 순 없다. 선택해서 먹으면 된다.

김용 기자 (ecok@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출처:   https://news.v.daum.net/v/20220323082237361

조회 수 :
191
등록일 :
2022.03.25
07:27:3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09775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05 아침은 삶은 달걀.. 내가 먹는 것은 몇 개 ? 불씨 203 2022-05-21
아침은 삶은 달걀.. 내가 먹는 것은 몇 개 ? 김용 입력 2022. 05. 20. 15:01 댓글 58개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우리나라 사람들은 달걀을 얼마나 먹고 있을까? 한 사람이 1년에 281개(2020년)를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이 365일이니 달걀 소비량...  
2404 10년 더 살려면 '5가지 습관' 지켜야 불씨 105 2022-05-20
10년 더 살려면 '5가지 습관' 지켜야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5. 17. 16:19 수정 2022. 05. 17. 16:37 댓글 71개     장수를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이 중요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무병장수는 모든 사람의 꿈이다. 이를 위해서는 5가지 건강...  
2403 한국인 죽음 재촉하는 만성질환.. 예방의 핵심은 '매일 먹는 영양소' 불씨 113 2022-05-19
한국인 죽음 재촉하는 만성질환.. 예방의 핵심은 '매일 먹는 영양소' 오상훈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5. 18. 08:50 댓글 96개     2020년에 발표된 통계청 자료를 보면 한국인 10대 사망원인은 암, 심뇌혈관질환, 폐렴, 당뇨, 치매, 간질환, 고혈압 순이다....  
2402 자전거 타기 전 이것만은 꼭.. 5가지 체크포인트 [스포츠의학] 불씨 239 2022-05-18
자전거 타기 전 이것만은 꼭.. 5가지 체크포인트 [스포츠의학]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5. 17. 08:30 댓글 1개     자전거 타기는 건강에 좋지만, 잘못 타면 오히려 근육에 무리를 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자전거 타기 좋은 ...  
2401 간 해치는 의외의 원인 vs 간 건강 지키는 생활습관 불씨 143 2022-05-17
간 해치는 의외의 원인 vs 간 건강 지키는 생활습관 권순일 입력 2022. 05. 16. 08:21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이자 신체의 발전소다. 간은 단백질과 콜레스테롤, 담즙을 생산하고 비타민과 미네랄, 심지어는 탄수화물까지 저...  
2400 눈 건강 주의보 불씨 183 2022-05-16
눈 건강 주의보 서울문화사 입력 2022. 05. 11. 09:01 수정 2022. 05. 11. 13:46 댓글 1개     "몸이 천 냥이면 눈이 구백 냥"이란 말이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 없으면 안 될 눈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세월에 장사 없듯 나이가 들면 눈 역시 늙는다. ...  
2399 몸 망치는 '잘못된 자세' 5가지 불씨 191 2022-05-15
몸 망치는 '잘못된 자세' 5가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5. 13. 14:14 수정 2022. 05. 13. 14:18   다리 꼬기 자세는 골반과 근육을 비뚤어지게 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우리가 자주 하는 자세 중에는 건강에 해로운 것들이 많다. 특정 자...  
2398 행복을 위해 끊어야 할 7가지 습관 불씨 134 2022-05-14
행복을 위해 끊어야 할 7가지 습관 이보현 입력 2022. 05. 13. 19:01 댓글 21개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싶다면 반드시 개선해야 할 습관이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자기계발서를 보면 더 나은 삶을 위해 당장 이런저런 것을 시작하라는 조...  
2397 눈 건강 지키는 꿀팁 불씨 150 2022-05-13
눈 건강 지키는 꿀팁 서울문화사 입력 2022. 05. 12. 10:11 수정 2022. 05. 12. 10:35 댓글 4개     눈 건강 지키기의 핵심은 눈에 쌓인 피로를 풀어주는 일이다.     노안의 신호   눈앞에 벌레가 떠다닌다 젤리 같은 점성의 물질인 유리체는 99%의 물과 1%의...  
2396 아침 물 한 잔이 주는 가장 중요한 몸의 변화 불씨 127 2022-05-12
아침 물 한 잔이 주는 가장 중요한 몸의 변화 김용 입력 2022. 05. 11. 08:20 댓글 12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아침 기상 직후 마시는 물의 건강효과는 잘 알려져 있다. 어쩌면 목숨까지 살리는 '생명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아침 공복에 가장 먼저 입...  
2395 가족도 꼭 알아야 할 의외의 '돌연사' 징후들 불씨 106 2022-05-11
가족도 꼭 알아야 할 의외의 '돌연사' 징후들 김용 입력 2022. 05. 08. 11:43 수정 2022. 05. 08. 12:40 댓글 63개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사랑하는 가족이 집에서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가 있다. 대처 방법을 몰라 우왕좌왕하는 경우도 있다. 두통에 소...  
2394 고기는 구워야 맛있는데.. 몸의 변화가? 불씨 124 2022-05-10
고기는 구워야 맛있는데.. 몸의 변화가? 김용 입력 2022. 05. 07. 12:0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소고기, 돼지고기 등을 먹을 때 직화구이를 고집하는 사람이 있다. 육류의 맛은 구이로 먹을 때 '최고'라는 사람이다. 닭고기는 튀김만 찾는다. 수십 년 동안...  
2393 스님처럼 마음 다스리는 아침 습관 4 불씨 103 2022-05-09
스님처럼 마음 다스리는 아침 습관 4 이용재 입력 2022. 05. 07. 08:01     마음의 평정을 통해 깨달음을 추구하는 불가의 승려들에게 배울 습관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오는 8일은 불기 2566년 부처님 오신 날이다. 마음의 평정을 통해 깨달음을 추구하는 ...  
2392 [위클리 건강] 고령 부모님 건강을 위해 챙겨야 할 예방접종 불씨 122 2022-05-08
[위클리 건강] 고령 부모님 건강을 위해 챙겨야 할 예방접종 김잔디 입력 2022. 05. 07. 07:00     조비룡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건강 관리 위한 성인 예방접종 필요" 대상포진·폐렴구균 백신·인플루엔자·파상풍 백신 등 유용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2391 당신을 매력없게 만드는 습관 5 불씨 100 2022-05-07
당신을 매력없게 만드는 습관 5 이용재 입력 2022. 05. 03. 13:01     매력에는 외모 외에도 성격이나 생활 방식이 영향을 미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외모가 출중하다고 다 매력적인 건 아니다. 매력에는 외모 외에도 성격이나 생활 방식이 영향을 미친다...  
2390 접촉보다는 호흡으로 코로나 감염 위험 1000배 더 높아(연구) 불씨 157 2022-05-06
접촉보다는 호흡으로 코로나 감염 위험 1000배 더 높아(연구) 권순일 입력 2022. 05. 05. 13:0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막기 위해 식품이나 식탁, 손잡이, 전등스위치 등을 열심히 닦아낸다. 하지만 이렇게 하는 ...  
2389 "빠르게 걸으면 신체 나이 ○○년 줄일 수 있다" 불씨 127 2022-05-05
"빠르게 걸으면 신체 나이 ○○년 줄일 수 있다" 조유경 동아닷컴 기자 입력 2022. 05. 03. 08:00     빨리 걷기가 16년까지 젊게 만들어 하루 권장 운동 시간은 30분 게티이미지뱅크‘빠르게 걷기’가 신체 나이를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달 20일 발...  
2388 활동이 폭증하는 시기..5월 나이별 건강관리 포인트 불씨 212 2022-05-04
활동이 폭증하는 시기..5월 나이별 건강관리 포인트 권순일 입력 2022. 05. 03. 07:59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계절의 여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환경이 좋은 때다. 여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조치도 완화되고 있어 5월에는 사람들...  
2387 좋은 의사는 어떤 환자를 좋아할까? 불씨 189 2022-05-03
좋은 의사는 어떤 환자를 좋아할까? 에디터 입력 2022. 05. 02. 08:01     [박문일의 생명여행]⑰좋은 환자의 7가지 조건 누구나 당면하게 되는 '좋은 환자'가 되는 방법을 미리 익혀두어야 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아침에는 네다리로, 낮에는 두 다리로, ...  
2386 평균 수명을 사는 데 도움 되는 운동 4 불씨 142 2022-05-02
평균 수명을 사는 데 도움 되는 운동 4 권순일 입력 2022. 04. 30. 13:0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인의 평균(기대) 수명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0년 태어난 아이들의 기대 수명은 83.5년으로 전년보다 0.2년 상승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