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부정맥의 가장 큰 이유는 노화[경희대병원 명의토크]

이정명 교수|경희대병원 심장내과 입력 2022. 08. 08. 09:21

 

 

경희대병원 심장내과 이정명 교수


부정맥은 원인과 종류가 다양해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부정맥이라고 해서 치료가 어렵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다. 막상 부정맥인 줄 알고 병원에 오는 환자 중 약 1/3은 부정맥이 아닌 불안증인 경우이다. 조금이라도 불편한 점이 있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는다는 마음으로 병원을 찾을 것을 당부드린다. 진단 결과 부정맥이라 해도 치료 과정이 그리 어렵지 않으니 무섭거나 두려워하기보다 조금 더 용기를 내어 전문의를 만날 것을 조언드린다.

사람의 심장은 1분에 약 60~100회의 범위 안에서 규칙적으로 뛰는데, 이보다 느리게 뛰면 서맥이라하고 더 빨리 뛰면 빈맥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심방조기수축, 심방세동, 심실세동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을 발현하는 모든 형태의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부정맥이라고 한다. 나이가 들수록 심장의 운동이 불규칙해지는데, 이처럼 부정맥의 가장 큰 원인은 노화다. 고혈압과 당뇨 등 기저질환도 부정맥에 영향을 미치며, 수면 무호흡증 및 과도한 음주와 비만, 폐 기능 및 갑상선 기능의 저하 등에 의해서도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60~65세를 기준으로 유병률이 크게 증가하는데,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중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것은 심방세동에 의한 부정맥이다. 이처럼 증상이 다양한 만큼 치료법도 여러 가지다. 다양한 사례를 크게 분류했을 때 빈맥의 경우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을, 서맥의 경우 심장 내 기기삽입술을 이용한다.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은 맥이 빠르게 나오는 지점을 고주파로 태워서 인자를 제거하는 시술이다. 심장 내 기기삽입술은 심장 내부 혹은 피하 내부에 제세동기를 삽입해 전기 자극을 줌으로써 불규칙하게 느린 심장 박동을 정상으로 돌려놓는 시술이다. 심장 안에는 전기가 흐르는 길이 있는데, 심장박동기를 삽입해 이곳에 전기자극을 주면 맥박을 정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작년부터 경희대병원에서 시작된 ‘레프트 번들 브랜치 페이싱(Left Bundle Branch Pacing)’은 우심실과 좌심실에 전기자극을 유도하는 시술이다. 국내에서 이 시술을 할 수 있는 병원은 많지 않기 때문에 우리 병원이 선도적으로 최신 기술을 들여온 셈이다. 심부전 증상이 악화된 환자에게는 급사를 예방하기 위해 제세동기를 심장 내부에 삽입하는 ‘제세동기 삽입술’을 시행한다. ‘피하형 제세동기 삽입술’은 왼쪽 가슴 위쪽 피부 아래에 제세동기를 삽입하는데, ‘제세동기 삽입술’과의 차이점은 심장이 아닌 옆구리에 삽입한다는 점이다. ‘피하형 제세동기 삽입술’은 심부전으로 급사 위험이 높은 사람과 빈맥으로 한 번 심장마비를 경험한 후 소생된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하는데, 피하에 기기가 삽입되는 만큼 혈관 내로 제세동기가 삽입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여준다. 심장 내 기기삽입술의 경우 우리나라 환자들의 거부감이 조금 심한 편이다.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 환자들의 심리적 장벽이 유독 높고, 그래서인지 국내 환자의 박동기 삽입률은 외국과 비교했을 때 무척 낮은 수준이다. 보험사의 규정도 엄격하다. 하지만 시술받은 대부분의 환자는 결과에 매우 만족하고 있다. 시술이 간단한 데 비해 규칙적인 맥을 보장해 주는 만큼, 삶의 질이 상당히 올라가기 때문이다.

부정맥에 매우 강력한 부정적 인자는 술이다. 시술 후에는 금주를 해야 하고 약을 계속 복용해야 한다. 간혹 다른 치료로 인해 관련 약을 일주일 정도 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자칫 뇌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기기를 삽입한 분들은 상처를 잘 관리해주셔야 하고, 휴대폰을 기기 가까이에 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기장판, 온수매트 등에서 자는 것은 괜찮으나 자석을 기기 주위에 갖다 대는 행위는 삼가야 한다. 부정맥 시술 후 환자 스스로 관리가 정말 중요함을 강조드린다.

경희대병원 심장내과 이정명 교수



이정명 교수|경희대병원 심장내과

< 저작권자(c)스포츠경향

 

 

출처: https://news.v.daum.net/v/20220808092144193

조회 수 :
217
등록일 :
2022.08.12
07:00:34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309856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2525 혓바늘·티눈·눈다래끼, 만만하게 보면 안되는 이유 불씨 355 2017-12-10
혓바늘·티눈·눈다래끼, 만만하게 보면 안되는 이유 | Daum 뉴스 혓바늘·티눈·눈다래끼, 만만하게 보면 안되는 이유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7.12.10. 08:00댓글 70개자동요약   손에 작은 가시가 박히거나 종이에 베이기만 해도 따끔거리고 신경 쓰인...  
2524 감기 퇴치에 좋거나 나쁜 먹을거리 불씨 100 2017-12-11
감기 퇴치에 좋거나 나쁜 먹을거리 감기 퇴치에 좋거나 나쁜 먹을거리   입력 F 2017.12.10 10:17 수정 2017.12.10 10:17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10억 명의 감기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가시고 심신을 약하게 하는 이 질병은 적절하게 치료...  
2523 운동량 적으면 간도 살찐다 불씨 118 2017-12-11
운동량 적으면 간도 살찐다 운동량 적으면 간도 살찐다   입력 F 2017.12.10 10:39 수정 2017.12.10 10:39   운동량이 적은 사람은 운동량이 많은 사람에 비해 비알코올 지방간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곽민선 교수와 ...  
2522 마음을 평안하게 다스리는 법 4 불씨 124 2017-12-11
마음을 평안하게 다스리는 법 4 마음을 평안하게 다스리는 법 4   입력 F 2017.12.10 12:05 수정 2017.12.10 12:08   사회생활을 하면서 평안하고 고요한 마음의 상태, 즉 평정심을 유지하기란 정말 어렵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 가운데 많은 수가 지나치게 ...  
2521 속 더부룩할 때 무·매실·양배추를 먹어야 하는 이유 불씨 172 2017-12-12
속 더부룩할 때 무·매실·양배추를 먹어야 하는 이유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속 더부룩할 때 무·매실·양배추를 먹어야 하는 이유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7.12.11 14:41     무·매실·양배추 등은 위장 건강에 도움...  
2520 한파 시작, 올겨울 최강 추위에 심장 건강에 빨간불 불씨 104 2017-12-12
한파 시작, 올겨울 최강 추위에 심장 건강에 빨간불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한파 시작, 올겨울 최강 추위에 심장 건강에 빨간불   황인태 헬스조선 기자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7.12.11 11:06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겨울에는 심장 ...  
2519 면역력이 당신을 지킨다 무병장수 위한 면역비책 免疫秘策 ① 불씨 220 2017-12-12
면역력이 당신을 지킨다 무병장수 위한 면역비책 免疫秘策 ①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면역력이 당신을 지킨다 무병장수 위한 면역비책 免疫秘策 ①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lhn@chosun.com 사진 셔터스톡 일러스트 박인선 / 도움말 김경수(서울성모병원...  
2518  겨울 최악의 한파…호흡기 건강 위협하는 바이러스 3종 주의보 불씨 117 2017-12-13
올 겨울 최악의 한파…호흡기 건강 위협하는 바이러스 3종 주의보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겨울 최악의 한파…호흡기 건강 위협하는 바이러스 3종 주의보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 입력 : 2017.12.12 13:33   올 겨울 들어 HRSV·HRV·IFV 등 호흡기 ...  
2517 감기 초기에 퇴치하는 방법 5 불씨 178 2017-12-14
감기 초기에 퇴치하는 방법 5 감기 초기에 퇴치하는 방법 5   입력 F 2017.12.13 14:12 수정 2017.12.13 14:31     감기에 걸리면 목구멍이 간질간질하고 머리가 무겁고 몸이 쑤시기 시작한다. 성인은 매년 평균 3차례 감기에 걸려서 매번 9일 정도 앓는다고 ...  
2516 겨울철 몸에서 열 내는 방법 5 불씨 342 2017-12-14
겨울철 몸에서 열 내는 방법 5 겨울철 몸에서 열 내는 방법 5   입력 F 2017.12.11 06:49 수정 2017.12.11 06:49   추울 때 두꺼운 코트를 입고 스카프를 두르고 장갑을 끼는 것은 보온을 위한 전통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신체 내부의 '오븐'을 켜는 잘 알려지...  
2515 겨울나기 건강 상식 4가지 불씨 98 2017-12-14
겨울나기 건강 상식 4가지 겨울나기 건강 상식 4가지   입력 F 2017.12.12 13:57 수정 2017.12.12 14:09     요즘처럼 추울 때는 따뜻한 술을 마시면 온기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처럼 보인다. 술을 마시면 혈액이 피부 표면을 급속하게 움직이기 때문이다....  
2514 만병의 근원이라 불리는 '만성염증'을 유발하는 5가지 원인 불씨 129 2017-12-15
만병의 근원이라 불리는 '만성염증'을 유발하는 5가지 원인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만병의 근원이라 불리는 '만성염증'을 유발하는 5가지 원인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12.14 15:46   만성염증이 만병의 근원으로 지목되고 있다. 우리 몸으...  
2513 100세 시대 중요한 '혈관' 건강…혈관 나이 자가 체크법 불씨 136 2017-12-15
100세 시대 중요한 '혈관' 건강…혈관 나이 자가 체크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100세 시대 중요한 '혈관' 건강…혈관 나이 자가 체크법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12.14 13:45     100세 시대를 맞아 혈관 건강이 중요해졌다. 사진-헬스조선DB  ...  
2512 주차장에서 전화 통화·국에 밥 말아 먹기…건강 해치는 행동들 불씨 258 2017-12-15
주차장에서 전화 통화·국에 밥 말아 먹기…건강 해치는 행동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주차장에서 전화 통화·국에 밥 말아 먹기…건강 해치는 행동들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7.12.13 18:03     일상에서 하는 사소한 ...  
2511 소변이 말하는 건강 상태 6 불씨 794 2017-12-17
소변이 말하는 건강 상태 6 소변이 말하는 건강 상태 6   입력 F 2017.12.15 07:18 수정 2017.12.15 07:18   소변은 우리 몸에서 배출된 물질인 만큼 신체 내부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로 적당하다. 소변은 옅은 노란색일 때 가장 정상적인 상태다. 진한 노란색...  
2510 주의해야 할 사소한 신체 증상 4 불씨 111 2017-12-17
주의해야 할 사소한 신체 증상 4 주의해야 할 사소한 신체 증상 4   입력 F 2017.12.16 09:51 수정 2017.12.16 09:58   신체에 나타나는 사소한 증상은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쉽다. 그러나 이런 증상을 방치했다가 심각한 질환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리얼심...  
2509 술 마신 뒤 먹지 말아야 할 5가지 불씨 301 2017-12-17
술 마신 뒤 먹지 말아야 할 5가지 술 마신 뒤 먹지 말아야 할 5가지   입력 F 2017.12.11 17:14 수정 2017.12.11 17:27     과음은 식욕을 북돋운다. 알코올이 식욕을 억제하는 뇌의 시상하부에 직접적으로 지장을 줘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키기 ...  
2508 피부를 윤기 있게 만드는 먹을거리 7 불씨 79 2017-12-18
피부를 윤기 있게 만드는 먹을거리 7 피부를 윤기 있게 만드는 먹을거리 7   입력 F 2017.12.17 10:23 수정 2017.12.17 10:23   유전자를 바꿀 수도 없고, 피부를 거칠게 만드는 스트레스를 완전히 없앨 수도 없다. 그러나 놀라운 피부를 가능하게 하는 음식을...  
2507 65세 이상이라면 간식은 선택 아닌 '필수' 불씨 111 2017-12-18
65세 이상이라면 간식은 선택 아닌 '필수'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65세 이상이라면 간식은 선택 아닌 '필수'   이기상 헬스조선 기자 leeks@chosun.com 사진 셔터스톡 도움말 박민선(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박현아(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2506 감기 물리치는 생활 요법 6 불씨 75 2017-12-19
감기 물리치는 생활 요법 6 감기 물리치는 생활 요법 6   입력 F 2017.12.18 07:28 수정 2017.12.18 07:28   통계에 따르면 겨울에 성인은 2차례 정도 감기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해 '폭스뉴스'가 감기를 예방하는 간단한 생활 요법 6가지를 소개했...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