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나홀로 집에? 더불어 산다! [책과 삶]



집은 결코 혼자가 아니다
롭 던 지음·홍주연 옮김
까치 | 368쪽 | 1만7000원

온통 얼음으로 덮여 있는 툰드라, 가장 뜨거운 사막과 펄펄 끓는 온천, 웬만한 생물이 견딜 수 없는 산성이나 알칼리성 물질까지 온갖 극단적 환경이 한데 모여 있는 공간이 있다. 바로 우리가 사는 ‘집’이다. 집 안에는 낮은 온도의 냉장고와 냉동고, 뜨거운 오븐과 온수기가 있다. 사워도 빵처럼 산성, 치약·세제처럼 알칼리성이 높은 물건들도 널려 있다. 식기세척기는 덥고 건조하고 습한 환경을 모두 견뎌내는 미생물들로 가득하며, 샤워기 헤드의 관은 늪에서나 볼 수 있는 독특한 막으로 덮여 있다. 집 안 생태계에선 지구상의 심해, 빙하, 외딴 소금사막에서만 사는 것으로 생각되었던 종들까지 발견되곤 한다.

<집은 결코 혼자가 아니다>는 그저 깨끗하게 보이는 집 안에 존재하는 ‘야생의 세계’를 펼쳐놓는 책이다. 지하실, 다락방, 마루 밑까지 어느 곳을 뒤지든 간에 그 안에서 생물들을 발견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보여준다. 이는 인류가 ‘호모 인도루스(Homo indoorus)’, 즉 ‘실내 인간’이 되었거나 되어가는 변화와 맞물려 있다. 우리가 사는 세계는 이제 야외보다는 주택과 아파트, 연결된 벽 안에 한정된 경우가 더 많다. 현대적 삶의 변화를 고려하면 어떤 생물종이 실내에서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내야 한다. 저자를 비롯한 생물학자들은 코스타리카의 우림이나 남아프리카의 초원을 조사하듯 집 안을 샅샅이 들여다본다. 작은 시골집부터 우주 정거장까지 이어지는 경이로운 탐사의 결과가 바로 이 책이다. “우리는 결코 혼자가 아니다.”

넓디넓은 실내는 결코 불모지가 될 수 없다. 미국 뉴욕을 예로 들면, 맨해튼의 토지 면적이 59㎢인데 바닥 면적 기준으로 실내는 무려 172㎢에 달한다. 집 안에는 최소 20만종 이상의 생물이 사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선 수십, 수백 종의 척추동물과 그보다 많은 종류의 식물이 실내에서 살아간다. 그보다 작지만 육안으로도 보이는 절지동물, 곤충, 그리고 그 친척들도 있다. 이들보다 더 다양하고 크기가 대개 더 작지만 항상 그렇지만은 않은 진균(곰팡이)도 있다. 육안으로 전혀 보이지 않는 세균의 경우 집 안에서 발견되는 종이 지구상 조류와 포유류의 종보다 더 많다고 한다. 여기에 수많은 바이러스도 빼놓을 수 없다.

샤워기 헤드에선 물과 함께 미생물들이 쏟아진다(왼쪽 사진). 한국 음식을 좋아하는 저자는 김치를 만들 때 저마다 다른 맛을 내도록 하는 ‘손맛’에 주목한다. 발효식품에서 나온 미생물과 가족들의 몸에서 나온 미생물들이 어우러진 건강한 ‘생물 다양성의 맛’이라는 것이다. 책에선 세균 중 자주 질병을 일으키는 종은 겨우 50종 정도라며, 내성만 키우는 무조건적인 화학물질에 대한 의존보다는 다양한 생물 접촉을 통한 면역력 증진을 제안한다. 까치 제공·경향신문 자료사진

가장 경이로운 혹은 경악스러운 집 안 공간은 샤워기 헤드일 것 같다. 오늘날의 우물이라고 할까. 연구자들은 이미 수돗물에서 세균, 아메바, 선충, 심지어 다리가 많은 소형 갑각류까지 찾아냈다. 다만 수돗물은 생물 다양성이 높지만, 생물들의 양 자체는 적다고 한다. 양분이 많지 않아 액체로 된 사막 같다는 것이다. 그런데 샤워기 헤드 안은 다르다. 대개 온수가 흐르는 데다 물이 웅덩이로 고여 있어 세균이 자라기에 유리하다. 이런 조건에서 여러 미생물은 샤워기 헤드 안의 관을 따라 두꺼운 ‘생물막(biofilm)’을 형성하게 된다. 생물막은 세균들이 힘을 합쳐 똥을 싸서 쉽게 부수기 힘든 아파트를 지어놓은 끈적끈적한 미생물 덩어리다. 일반적인 샤워기 헤드 안에는 미생물 수조개가 든 생물막이 약 0.5㎜ 두께로 쌓여 있다고 한다.

샤워기 헤드의 생물막이 문제인 이유는 여기에 미코박테륨 속의 세균들이 살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관을 좋아하는 이 미코박테리아는 평소에는 유해하지 않다가 인간 폐 속으로 들어가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샤워기 헤드의 현실에 충격을 받고 물에 있는 생물들을 박멸하려고 애쓰면 오히려 미코박테륨 종의 경쟁자들이 더 많이 사라지면서 이런 해로운 종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저자는 일반적인 미코박테륨 종들은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들에게만 약간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금속 재질보다는 플라스틱 재질의 샤워기 헤드 안에 더 적다고 알려준다. 하지만 저자가 하고 싶은 말은 그냥 새 샤워기 헤드를 구입하라는 얘기가 아니다.

책의 핵심 주장은 이미 집 안의 생물들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인간과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무작정 생물들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접촉을 통해 우리 몸의 ‘생물 다양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롤리의 주택들에서 발견된 절지동물의 각 목별 비율.

“그들은 오로지 우리가 있는 실내에서만 강력하게 번성하고 있다. 어쩌면 그래서 우리가 그들을 그토록 싫어하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들은 우리처럼 따뜻하고, 너무 건조하지도 너무 습하지도 않은 환경을 좋아한다. 우리가 좋아하는 음식들을 좋아하며, 심지어 우리처럼 외로움을 타기도 한다.” 해충의 대명사인 바퀴벌레는 지구상에 수천 종이 존재하지만, 실내에서도 살 수 있는 것은 고작 10여종이라고 한다. 그중 대표적인 녀석이 ‘독일바퀴’이다. 줄스 실버먼이라는 곤충학자가 발견한 ‘T164’라는 바퀴벌레 가족은 경악스러운 적응력을 보여줬다. 흔히 바퀴벌레 미끼는 당분으로 만드는데, 값싼 포도당이 주로 사용됐다고 한다. 근데 T164라는 아파트에 살던 독일바퀴는 죽지 않았다. 마치 미끼를 꺼리는 것처럼 보였다. 수백만년을 먹이로 삼은 당분을 피하는 바퀴벌레라니, 근데 실험결과 진짜였다. 이들 독일바퀴는 포도당을 피하도록 진화한 것이다.

아파트에 독일바퀴 가족이 입주하면 6주일에 한 번씩 암컷 한 마리가 최대 48개의 알이 들어 있는 알주머니를 생산한다. 이 속도면, 1년에 1만마리의 자손들이 태어난다. 끝없는 전쟁을 무작정 이어가는 것이 정말 옳은 일일까. 대부분의 생물은 무해하거나 오히려 유익하다. 하지만 우리가 화학물질의 독성을 높일수록 인간에게 아무런 나쁜 영향도 미치지 않는 동물들이 사라진다. 대신 작고, 내성이 있고, 잘 잡히지 않는 독일바퀴, 빈대, 이, 집파리, 벼룩의 자리만 더욱 커져간다. “불을 켜는 순간 수많은 다리로 잽싸게 도망치고, 우리가 자리를 뜨거나 불을 끄면 바로 다시 모여드는 작은 군대들에 둘러싸이게 될 것이다.”

멸균의 욕망에 사로잡힌 인간이 집 안에 사는 동물들을 가능한 한 없애려고 하면서도 예외가 있다. 사랑스러운 반려동물들이다. 하지만 개나 고양이가 들여오는 생물들을 생각하면 머리가 복잡해진다. 고양이가 데려온 생물들 중에는 기생충인 ‘톡소포자충(Toxoplasma gondii)’이 있다. 1980년대 연구자들은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쥐들이 과도한 활동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2일간 감염되지 않은 쥐들이 쳇바퀴를 4000회 돌릴 동안, 감염된 쥐들은 무려 1만3000회를 돌렸다. 이 기생충이 쥐들을 지나치게 활동적인 상태로 만들어 고양이에게 잡아먹힐 확률을 높인 것으로 추정됐다. 후속 연구에선 고양이 배설물을 통해 배출된 이 기생충의 난포낭에 인간도 노출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어쩌면 인간이 고양이에게 끌리는 이유가 고양이의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탓일 수 있다는 의미다. 더 충격적인 사실은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사람들은 조현병 발병 확률도 높았다는 것이다.

개들이 얼굴을 신나게 핥을 때 역시 기생충과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다. 하지만 감염의 위험한 결과는 드물게 나타나며, 예방조치를 통해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번에도 저자는 반려동물의 이득과 손해 사이의 대차대조표를 맞추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개와 고양이가 가져올 수 있는 더 큰 유익, 이들이 집 안으로 들이는 생물학적 다양성을 강조한다.

오늘날 지나치게 깨끗한 환경으로 자가 면역질환이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졌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깨끗한 물, 백신, 항생제가 필요하다. 저자는 “지금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종들에 대해서 아무런 통제력도 가지지 못하는 삶으로 돌아가자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균형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의 삶 속에 다양한 생물을 들이면 우리 면역체계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도와주고, 다양한 생물들이 특정 병원균의 번성을 억제한다. 거미와 같은 유익충을 통한 해충의 ‘생물학적 구제’도 가능하다.

이 미국인 저자는 생물 다양성의 표본으로 한국음식 중 김치 그리고 ‘손맛’을 열의를 담아 설명한다. 사람마다 다른 이 손맛이 실제로는 한국의 집집마다 있는 수많은 발효식품과 사람에게서 비롯된 미생물들의 ‘집맛’이라고, ‘생물 다양성의 맛’이라는 것이다. 음식을 만드는 일은 그 모든 과정을 통해 집 안 전체에 특정한 종류의 생물 다양성을 복원하는 행위이다. 왜 발효식품이 몸에 좋은지, 집밥이 건강식이라고 하는지 납득이 가는 설명이다.

우리 집 안의 종들은 우리 삶의 척도이다. “나는 우리 집의 먼지가 보여주었으면 하는 삶의 모습을 알고 있다. 그것은 다양한 생물에 둘러싸여 있는 삶,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가족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삶, 풍부한 생물 다양성과 그들이 제공하는 혜택에 노출된 삶이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경향신문(www.khan.co.kr)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32&aid=0003010530&date=20200522&type=1&rankingSeq=6&rankingSectionId=103

조회 수 :
2245
등록일 :
2020.05.26
08:12:06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88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1485 걸을 때 팔 앞뒤로 흔들어야 건강 효과 불씨 209 2019-11-10
걸을 때 팔 앞뒤로 흔들어야 건강 효과 유대형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11.05. 09:13     균형감 좋아져 낙상 예방 효과 신진대사 잘 돼 체중 감량 도움   걸을 때는 팔을 앞뒤로 흔들며 걷자. 팔을 움직이면서 걸으면 낙상 예방, 신진대사 활성화 등 다양한 ...  
1484 손가락 'V' 하고 사진 찍으면 위험한 이유 불씨 198 2019-11-08
손가락 'V' 하고 사진 찍으면 위험한 이유 이정은 입력 2019.11.07. 08:02     고해상도 카메라 보급 늘며 생긴 부작용 “얼굴 정면 찍은 사진도 생체 정보 유출로 악용 가능”   다섯 손가락 중 검지와 중지만 펴서 영문 브이(V)자 모양으로 접는 자세. 게티이...  
1483 가을철 운동하다 '악!'..근육·관절 부상 주의보 불씨 189 2019-11-07
가을철 운동하다 '악!'..근육·관절 부상 주의보 노진섭 의학전문기자 입력 2019.11.06. 14:01     의사들이 경고하는 무릎·골반·어깨·팔꿈치 부상 예방 포인트   (시사저널=노진섭 의학전문기자)   가을은 운동하기 좋은 계절이다. 그러나 잘못된 자세와 무리...  
1482 기온별 옷차림, 추위 많이 타는 목에 스카프 불씨 169 2019-11-06
기온별 옷차림, 추위 많이 타는 목에 스카프 이주연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10.28. 14:51     추위 느끼면 피로를 쉽게 느낀다. 목 주변이 추위를 가장 많이 느끼니 잘 감싼다/사진= 클립아트코리아     쌀쌀해진 날씨에 어떤 옷을 입을까 고민하는 사람이 ...  
1481 운동 좋은 건 아는데.. '어느 강도'로 해야 효과 볼까 불씨 124 2019-11-05
운동 좋은 건 아는데.. '어느 강도'로 해야 효과 볼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11.04. 16:40     운동은 심장이 빨리 뛰고 호흡이 평소보다 가빠지는 '중강도' 이상으로 실시해야 효과가 크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운동이 좋다는 사실은 누구나 ...  
1480 '뚝 떨어진 기온에 혈관도 화들짝'..심혈관질환 주의보 불씨 137 2019-11-04
'뚝 떨어진 기온에 혈관도 화들짝'..심혈관질환 주의보 입력 2019.10.27. 07:00     "뇌졸중 발생시 3시간내 치료 중요..평소 자가진단법 숙지해야"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아침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혈관 건강에도 비상이 ...  
1479 먹는 시간, 음식만큼 건강에 큰 영향(연구) 불씨 111 2019-11-03
먹는 시간, 음식만큼 건강에 큰 영향(연구) 권순일 입력 2019.11.02. 11:07     [사진=Doucefleur/gettyimagesbank]     건강을 위해서는 식습관을 잘 관리해야 한다. 특히 어떤 음식을 먹느냐에 못지않게 언제 먹는가도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 심장 건강을 ...  
1478 [단독] 가장 효과적인 칫솔질은 '회전법'? 틀렸습니다 불씨 132 2019-11-01
[단독] 가장 효과적인 칫솔질은 '회전법'? 틀렸습니다 정현용 입력 2019.10.31. 14:21     치아 세균막 제거 효과 '회전 동작' 가장 낮아 [서울신문]서울대 조현재 교수팀 칫솔질 효과 검증 사선·원 그리기·수평 동작 세균막에 효과 시간요인 더하자 ‘수평 동...  
1477 깊어가는 가을, 늘어나는 불면증 줄이려면 불씨 164 2019-10-31
깊어가는 가을, 늘어나는 불면증 줄이려면 권대익 입력 2019.10.28. 23:02     오전 햇빛 쬐고, 규칙적인 운동, 족욕, 억지로 잠 청하지 말아야   4주 이상 불면증 지속되면 전문의 찾아야   수면 부족하면 치매 유발할 수도   가을이 깊어가면서 불면으로 밤...  
1476 건강하게 오래사는 건강수명.. "섬유소에 달려 있다" 불씨 113 2019-10-30
건강하게 오래사는 건강수명.. "섬유소에 달려 있다" 김용 입력 2019.10.29. 10:51     [사진=Ana Blazic Pavlovic/shutterstock]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성공적인 노화(Successful Aging)'가 건강수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100세를 살아도 병으...  
1475 환절기 호흡기질환 급증..손 씻기·마스크 착용 필수 불씨 149 2019-10-29
환절기 호흡기질환 급증..손 씻기·마스크 착용 필수 이연희 입력 2019.10.28. 12:01   기온 하락에 미세먼지·가을황사 영향..아동·노인 취약   【세종=뉴시스】소방청이 28일 작년 119구급활동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0~12월 호흡기질환 관련 응급상담과 구...  
1474 홍삼, 피부탄력 개선 등 노화 방지에 효과 불씨 161 2019-10-28
홍삼, 피부탄력 개선 등 노화 방지에 효과 박태해 입력 2019.10.27. 03:01   고려인삼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홍삼이 노화를 예방하고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잇따라 제시됐다.   지난 22일 열린 고려인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  
1473 [위질환①]얼큰한 국물요리 먹고 커피 한잔..위궤양 생길 수밖에 불씨 190 2019-10-27
[위질환①]얼큰한 국물요리 먹고 커피 한잔..위궤양 생길 수밖에 음상준 기자 입력 2019.10.19. 07:00     열나고 속 더부룩한 증상..위염과 증상 비슷해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서울=뉴스1) 음상준 기자 = 위벽을 구성하는 위점막이 손상되면 위궤...  
1472 노인성 질환 예방? 허벅지 근육이 좌우 불씨 163 2019-10-26
노인성 질환 예방? 허벅지 근육이 좌우 김문석 기자 kmseok@kyunghyang.com 입력 2019.10.24. 10:50   나이 들어 노화가 진행되면서 퇴행성 관절염, 당뇨병, 치매 등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는 건강 문제가 많다. 평균 수명이 늘어 무릎 퇴행성 관절염으로 보행 ...  
1471 근육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움직일까? [의사에게 배우는 인체생리학] 불씨 4097 2019-10-25
근육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움직일까? [의사에게 배우는 인체생리학] 헬스조선 편집팀 입력 2019.10.24. 10:17     근육의 구조와 작동 원리   근육(muscle)은 신경의 자극에 따라 짧아지고 굵어지면서 수축(contract)하고, 자극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의...  
1470 나이 들수록 세월 빨리 가는 이유(연구) 불씨 133 2019-10-24
나이 들수록 세월 빨리 가는 이유(연구) 권순일 입력 2019.10.23. 07:05     [사진=Yuganov Konstantin/shutterstock]     '20대 때는 20㎞로, 50대 때는 50㎞ 속도로 시간이 간다'는 말이 있다. 나이가 들수록 세월이 빨리 가는 듯 느껴지기 때문에 나온 말이...  
1469 100가지 넘는 체내 호르몬, 건강히 유지하는 4가지 비결 불씨 132 2019-10-23
100가지 넘는 체내 호르몬, 건강히 유지하는 4가지 비결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10.07. 08:44   호르몬 건강법   체내 호르몬이 건강하게 분비되고 기능하려면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충분히 수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건...  
1468 '손' 통해 감염..소아는 물건, 노인은 본인 접촉 빈도 多 불씨 133 2019-10-22
'손' 통해 감염..소아는 물건, 노인은 본인 접촉 빈도 多 유수인 입력 2019.10.19. 04:00   '접촉'은 감염병의 가장 흔한 전파경로   사진=픽사베이   감염질환 고위험군의 주요 ‘접촉 감염 경로’가 밝혀졌다. 아직 면역체계가 완성되지 않은 소아는 공통적으...  
1467 소금물, 치실..입안 염증 대처법 5가지 불씨 270 2019-10-21
소금물, 치실..입안 염증 대처법 5가지 권순일 입력 2019.10.20. 13:15     [사진=metamoworks/shutterstock]     입안 조직에 생기는 염증 즉, 구내염이 생기면 즐겨 먹던 매운 음식을 포기해야 하고 양치질 할 때도 조심해야 한다. 혀나 잇몸, 입술과 볼 안...  
1466 "남은 수명 알려주는 텔로미어, 다시 늘릴 수 있다" 불씨 142 2019-10-20
"남은 수명 알려주는 텔로미어, 다시 늘릴 수 있다" 입력 2019.10.19. 13:19   스페인 NCIO, 생쥐 실험 첫 성공..수명 13% 연장 확인   생쥐 세포의 길어진 텔로미어(오른쪽)가 붉은 점처럼 핵(푸른색)에 퍼져 있다. [CNIO 제공]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