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스마트폰 해킹은 어떻게 이뤄질까?

기사입력 2020.01.22. 오후 6:47

 

 

최근 한 유명 연예인의 부적절한 사생활 대화 내용이 인터넷을 통해 퍼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연예인은 해킹을 통해 문자 메시지와 사진이 유출됐고, 해커가 이를 빌미로 금품을 요구하는 등 협박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스마트폰에 저장한 주소록은 물론, 사진이나 메시지 등 개인의 사생활이 유출되는 사례는 오늘날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개인의 실수나 지인의 악의적인 유포도 많지만, 해킹 역시 대표적인 유출 사례 중 하나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는 사생활이나 개인 정보, 금융 정보 등 생활에 밀접한 정보가 가득한 만큼, 스마트폰이 해킹 당하면 생각보다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스마트폰은 생활에 밀접한 정보를 다루는 기기인 만큼 보안 사고로 인한 피해 역시 크다(출처=IT동아)


 

스마트폰 해킹 사례는 다양하며, 몇 년간 흔히 쓰인 방법은 외부 경로를 통해 개인의 스마트폰에 악성 앱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악용한 대표적인 사례가 '몸캠피싱'이다. 해커가 모바일 채팅 앱이나 사이트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접근하고, 음란한 채팅을 할 것처럼 유도한다. 이 때 해커는 소리나 영상이 불안정하다는 등의 핑계를 대며 사용자에게 별도의 앱을 설치할 것을 요구한다. 이를 설치하게 되면 앱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폰에 저장된 주소록 등의 정보가 해커에게 전송되며, 해커는 돈을 보내지 않으면 이를 통해 확보한 연락처로 사용자가 음란한 행위를 했다는 사실을 알리겠다며 협박한다.

이처럼 외부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방식 역시 다양하다. 가령 웹 페이지를 통해 유료 앱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고 속여 악성 코드가 들어있는 가짜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방법도 있고, 택배 주소 확인을 위해 사이트에 접속해 앱을 내려받거나 개인정보를 입력하라고 유도하는 방식도 있다.



개인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피싱 사이트(출처=IT동아)

 


이렇게 설치된 악성 앱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주소록이나 각종 계정 정보를 탈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치정보나 카메라 같은 하드웨어 기능을 원격에서 실행해 민감한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해킹을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본 단에서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를 제한하는 기능이나 설치된 앱이 요구하는 접근 권한(주소록, 카메라, 위치정보, 저장소 등)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을 경우 해킹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출처를 알 수 없는 앱과 과도한 권한 요구하는 앱 주의 해야

외부 앱을 사용자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 구글 플레이, 원스토어, 갤럭시 스토어, LG 스마트월드 등 공식 앱 장터 외에서 제공하는 앱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또, 혹시 모를 설치 가능성에 대비해 알 수 없는 앱 설치 허용 항목을 해제해야 한다. 최근 등장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라면 설정 화면에 있는 검색 창에 '알 수 없는 앱'이라는 키워드를 입력해 항목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구형 스마트폰의 경우 설정 > 일반 > 보안 >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항목에서 이를 찾을 수 있다.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을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출처=IT동아)

 


정상적인 경로로 내려받은 앱이라 할지라도 과도한 권한을 요구한다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안드로이드 6.0 이상의 운영체제는 앱을 설치할 때 사용자가 앱이 어떤 권한을 요구하는지 확인하고 이를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앱이라면 사진을 찍기 위해 전면/후면 카메라에 접근하는 권한을, 사진을 저장하기 위해 저장소에 접근하는 권한 등을 요구할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카메라 앱은 이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카메라 앱의 경우 일반적으로 '주소록' 기능에 접근할 필요는 없다.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주소록 정보가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때문에 앱 설치 시 단순히 '확인'이나 '동의' 버튼을 연속으로 누르지 말고, 어떤 권한을 요구하는지 확인해, 불필요한 권한을 요구할 경우 설치 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앱이 스마트폰 권한 요구 시 유심히 확인해야 한다(출처=IT동아)


이러한 권한은 사용자가 사후에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정 > 일반 > 앱 등의 항목으로 진입하면 각 앱에 어떤 권한이 허용돼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직접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앱 중에는 권한을 해제하면 사용할 수 없는 앱도 있다. 이런 앱의 경우 해당 권한을 요구하는 것이 타당한지 파악한 뒤 권한을 주고, 자신에게 굳이 필요하지 않다면 앱을 사용하지 않는 것도 방법이다.

클라우드 저장소 계정 탈취에도 유의

최근 스마트폰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클라우드 저장소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으며, 구글 포토 처럼 사진을 자동으로 업로드 할 수 있는 기능 역시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저장소에 스마트폰 자체를 백업해두고, 이를 이용해 스마트폰을 바꿨을 때도 이전과 동일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도 존재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저장소 계정과 암호가 노출될 경우 클라우드 저장소에 있는 모든 정보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지난 2014년에는 아이클라우드 계정 해킹을 통해 헐리우드 유명 배우나 가수가 클라우드 저장소에 보관한 사생활 사진이 유출되면서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최근 발생한 국내 유명 연예인의 스마트폰(안드로이드) 해킹 사건 역시 이러한 형태의 보안 사고로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계정 탈취에 쓰이는 방법 역시 다양하다. 가령 2014년에 있었던 유출 사건은 비밀번호를 무작위로 대입해 비밀번호를 찾아냈다. 또 다른 방법은 피싱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마치 실제 사이트와 유사한 가짜 사이트를 제작하고, 사용자의 로그인을 유도하면 해커는 이를 통해 손쉽게 계정과 비밀번호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지난 2017년에는 아이튠즈 스토어인 것처럼 꾸민 사이트를 통해 애플 계정과 비밀번호를 탈취하려는 시도가 발견되기도 했다. 최근 파장을 일으킨 N번방 사건 역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계정에 피싱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보내 계정을 탈취한 뒤 소셜 미디어 정보를 악용해 사용자를 협박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뤄졌다.



애플 계정 입력을 요구하는 피싱 사이트(출처=IT동아)

 


이러한 탈취를 막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우선 복잡한 암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문자, 대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을 섞으면 강력한 암호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어느 정도만 맞는 말이다. 가령 'Qwerty12#$'이라는 암호를 생각했을 때 기존에 사용하던 'qwerty1234'보다는 조금 더 강력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과 비교해 시프트라는 패턴 하나만 추가된 것이기 때문에 결국 경우의 수가 늘어난 것에 불과하다. 정말 강력한 암호는 'qG#g2Ys^V' 처럼 다양한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활용해 무작위로 생성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암호를 일일이 기억하고 입력하기 어려운 만큼, 노턴 패스워드 매니저 등의 암호 생성/보관 서비스나 구글 계정을 이용한 암호 동기화를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단계 암호 생성 역시 필요하다. 가령 네이버의 경우 내 정보 > 보안설정에서 2단계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을 활성화할 경우 인증 받지 않은 기기에서 내 계정으로 로그인을 시도할 경우 스마트폰 등을 통해 알려주며,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이를 허용해야만 로그인할 수 있는 방식이다.

보안에 왕도는 없지만…

흔히 보안에는 왕도가 없다고 말한다. 어떠한 보안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하더라도, 언젠가는 해커가 이를 뚫는 기발한 방법을 생각해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최소한의 보안 조치를 하는 것만으로도 상당수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언제나 강조하는 보안 수칙은 같다. 우선 '알 수 없는 사이트'나 '알 수 없는 파일'을 접근/실행하지 말 것, 비밀번호는 길고 강력하게 설정해 주기적으로 변경할 것, 웹 사이트를 찾을 때는 URL 대신 잘 알려진 포털 사이트를 통해 검색 후 접속할 것, 보안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것, 각종 소프트웨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것 등이다.

동아닷컴 IT전문 이상우 기자 lswoo@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0&aid=0003265814&date=20200122&type=1&rankingSeq=5&rankingSectionId=105

 

 

조회 수 :
585
등록일 :
2020.01.27
07:04:14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806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49 걸으면 생기는 이득 5 불씨 126 2020-04-26
걸으면 생기는 이득 5 이용재 입력 2020.04.24. 14:46       [사진=JV_PHOTO/gettyimagebank] 걷기에 더할 나위 없는 계절이 돌아왔다. 걷기는 어떤 준비도 필요 없고, 아무 비용도 들지 않는 운동이다. 사람이 많은 곳만 피한다면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시대의...  
1648 "코로나는 코로 걸린다" 바이러스 침입경로 확인 불씨 153 2020-04-25
"코로나는 코로 걸린다" 바이러스 침입경로 확인 한명오 인턴기자 입력 2020.04.24. 17:07   미국 국립보건원이 2월 발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전자 현미경 사진. AP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체내 초기 침입 경로가 코...  
1647 건강한 고령층 '슈퍼에이저' 되려면 근육건강부터 챙겨야 불씨 130 2020-04-24
건강한 고령층 '슈퍼에이저' 되려면 근육건강부터 챙겨야 입력 2020.01.05. 09:31   근육생성 돕는 '류신' 풍부하고, 소화흡수 빠른 우유 속 '유청단백질' 운동 후 섭취해야   지난 30년 동안 우리나라 평균수명이 30년 정도 빠르게 늘어나면서 신체적, 정신적...  
1646 "가슴이 두근두근? 혹시 부정맥인지 '이렇게' 확인해보세요" 불씨 357 2020-04-23
"가슴이 두근두근? 혹시 부정맥인지 '이렇게' 확인해보세요"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2.10. 08:32   '명의톡톡' 명의의 질환 이야기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진은선 교수/강동경희대병원 제공 누구나 가슴이 크게 두근두근 뛰는 경험을 한 ...  
1645 창 열고, 과일 먹고.. 집에서도 면역력 챙기세요 불씨 112 2020-04-22
창 열고, 과일 먹고.. 집에서도 면역력 챙기세요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3.03. 08:52     [코로나19 이기는 '재택 건강법'] 2주 고비.. 건강 컨디션 중요 유산소·근력 운동 매일 30분씩, 과일·채소·단백질 매 끼니 섭취 만성질환자, 약 빠뜨려선 안 ...  
1644 길어지는 '집콕생활'.. 운동으로 면역력 키우자 불씨 152 2020-04-21
길어지는 '집콕생활'.. 운동으로 면역력 키우자 정상연 기자 입력 2020.04.08. 03:0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외출을 자제하고 집 안에만 머무르는 사례가 늘고 있다. 기업들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최소한의 필수 인원을 제외하고...  
1643 인간 수명 한계 없앨까…미 연구진 114세 세포를 ‘아기 수준’으로 바꿔 불씨 227 2020-04-20
인간 수명 한계 없앨까…미 연구진 114세 세포를 ‘아기 수준’으로 바꿔 기사입력 2020.03.29. 오전 10:01   [서울신문 나우뉴스] 인간 수명 한계 없앨까…미 연구진 114세 세포를 ‘아기 수준’으로 바꿔(사진=123rf)   미국의 과학자들이 114세 여성의 혈액세포를...  
1642 주먹 꽉~ 쥐어보면, 당뇨병 위험 예측 가능 불씨 148 2020-04-19
주먹 꽉~ 쥐어보면, 당뇨병 위험 예측 가능 기사입력 2020.04.07. 오전 11:22   악력 측정으로 초기 당뇨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악력 측정으로 초기 당뇨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오클랜드...  
1641 [오늘의 건강] 봄철 피부 건강 지키는 방법 불씨 115 2020-04-18
[오늘의 건강] 봄철 피부 건강 지키는 방법 이지원 입력 2020.04.17. 06:00   [사진=Tharakorn/gettyimagebank] 전국이 흐린 가운데 새벽에 서해안부터 비가 오기 시작해 낮에는 전국 대부분 지방에 비가 내리겠다. 예상 강우량은 남해안과 지리산 부근, 제주...  
1640 [더오래]염증 가볍게 보다간 큰코…암·심장병 원인 불씨 158 2020-04-17
[더오래]염증 가볍게 보다간 큰코…암·심장병 원인 기사입력 2020.04.15. 오후 1:01   [더,오래] 임종한의 디톡스(46) 염증은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 체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다. 생체조직이 손상되면 신체에선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새로운 조직으...  
1639 소화력 높이고…위장에 좋은 음식 7 불씨 173 2020-04-16
소화력 높이고…위장에 좋은 음식 7 기사입력 2020.04.15. 오전 11:16   [사진=jv_food01/gettyimagesbank]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한 조치가 시행되면서 스트레스와 활동 부족으로 소화불량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  
1638 망막질환을 예방하는 유일한 방법은? 불씨 199 2020-04-15
망막질환을 예방하는 유일한 방법은? 입력 2020.02.14. 14:23     여러 가지 망막질환으로 인해 안과를 찾는 분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눈에 통증, 염증, 충혈 등이 있으면 비교적 안과를 빨리 찾게 되지만, 빛이 번져 보인다거나 사물이 이중으로 보이는 ...  
1637 아시나요..내 나이에 맞는 '뼈' 관리법 따로 있다는 걸! 불씨 194 2020-04-14
아시나요..내 나이에 맞는 '뼈' 관리법 따로 있다는 걸! 헬스경향 장인선 기자 입력 2020.04.14. 10:32     [경향신문] 뼈의 노화로 인한 골밀도 감소는 피할 수 없다. 하지만 어릴 때부터 뼈의 기초체력을 다져 꾸준히 관리하면 골밀도 감소속도를 늦출 수 있...  
1636 [건강한 가족] 몸 자세·균형 바로잡고 복부·엉덩이 근육 탱탱하게 불씨 257 2020-04-13
[건강한 가족] 몸 자세·균형 바로잡고 복부·엉덩이 근육 탱탱하게 김선영 입력 2020.04.06. 00:01     코어 근육 운동의 중요성   근육은 나이 들수록 중요해지는 건강 지표다. 세포를 움직이게 해 신체 활동을 원활히 유지하도록 돕는다. 요즘 가장 주목 받는...  
1635 '눈앞이 침침' 황반변성, 루테인·지아잔틴으로 예방 불씨 229 2020-04-12
'눈앞이 침침' 황반변성, 루테인·지아잔틴으로 예방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4.08. 06:01     황반부 세포 기능 저하로 시력 떨어져 1일 권장섭취량 충족하는 제품 골라야     게티이미지뱅크 '황반'은 망막의 중심부에 있는 신경조직으로 외부에서 ...  
1634 우유 섭취, '환절기 면역력과 뼈 건강' 증진 불씨 122 2020-04-11
우유 섭취, '환절기 면역력과 뼈 건강' 증진 입력 2020.04.06. 16:16       [서울신문]계절이 바뀌는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큰 일교차로 인해 몸이 적응하지 못해 쉽게 피로해지고 감기 등 질환에 걸리기 쉽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면역세포에 관여하는 에너...  
1633 가볍지만 무시하지 않아야 할 코로나 증상 6 불씨 118 2020-04-10
가볍지만 무시하지 않아야 할 코로나 증상 6 문세영 입력 2020.04.08. 17:20     [사진=Grafissimo/gettyimagesbank]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가장 명확한 증상은 열, 기침, 호흡곤란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환자들이 보이는 증상은 이보다 다양...  
1632 답답하고 우울하고..'코로나블루' 극복 방법은? 불씨 237 2020-04-09
답답하고 우울하고..'코로나블루' 극복 방법은? 문세영 입력 2020.04.08. 15:06 [사진=S-S-S/gettyimagesbank]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50명 전후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지속적인 추가 환자가 발생하면서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기...  
1631 외출 못하는 노인, 집에서 가족과 '뇌 운동' 어때요? 불씨 127 2020-04-08
외출 못하는 노인, 집에서 가족과 '뇌 운동' 어때요?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4.02. 15:09     그림 그리기, 춤 추기도 도움   평소 하지 않던 행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뇌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외출...  
1630 [강남세브란스병원과 함께하는 건강 Tip] 비타민 D, 하루 30분 햇빛 산책으로 보충해야 불씨 201 2020-04-07
[강남세브란스병원과 함께하는 건강 Tip] 비타민 D, 하루 30분 햇빛 산책으로 보충해야 권대익 입력 2020.04.06. 18:02     그림 1게티이미지뱅크 비타민은 신진대사에 꼭 필요하다. 하지만 몸에서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 섭취해야 한다. 비타민 가운데 체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