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뇌는 어떻게 장기 기억을 보존하나?

사이언스타임즈 2019.08.13. 16:36

 

장기 기억 유지하는 분자 메커니즘 밝혀

뇌는 감미로운 첫 키스로부터 아기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소중한 기억들을 안전하게 보존한다. 이러한 신기한 재주는 어떻게 가능하며, 어떤 과정을 거쳐 작동할까?

미국 컬럼비아대 신경과학자들은 실험용 쥐 세포를 이용한 새로운 연구에서 뇌가 이런 종류의 장기 기억을 유지하도록 하는 분자 메커니즘(molecular machinery)를 밝혀내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뇌의 신경세포인 뉴런의 활동을 관찰해, 특정 단백질(CPEB3)이 어떻게 뉴런으로 하여금 시간이 지나도 기억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지를 확인했다.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12일 자에 발표된 이번 연구는 뇌의 가장 보편적이며 기본적인 분자 기능 중 하나에 대한 전혀 새로운 관점을 보여주었다는 평이다. 아울러 알츠하이머병 같은 기억 상실로 특징지어지는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목표도 제시했다.

 

실험에서 자극을 주자 기억 생성에 관여하는 CPEB3(녹색) 단백질이 뉴런의 신경가지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 Lenzie Ford and Luana Fioriti/Kandel lab/Columbia’s Zuckerman Institute

 

 

기억은 존재의 기본”

논문 공동 시니어저자로 지난 2000년 기억의 분자적 기초 연구로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에릭 캔들(Eric Kandel) 교수(뇌과학 ·컬럼비아 모티머 주커만 마인드 브레인 행동 연구소 공동소장)는 “기억은 우리가 누구인가 하는 정체성을 만들어 주며, 우리의 삶에 스며들어 존재의 기본이 된다”고 말했다.

 

에릭 캔델은 바다달팽이를 이용한 세포내 기억 과정의 발견 등 획기적인 연구 결과를 잇달아 발표하면서 그 업적을 인정받아 2000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다. ⓒ Wikimedia Commons

 

 

그러나 그는 “기억은 그 핵심에서 보면 심장 박동과 다르지 않은 생물학적 과정으로서 우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삶의 과정 속에서 기억을 만들고 보존하고 회상하는 두뇌 능력의 이면에 있는 분자 기반을 새롭게 조명했다”고 밝혔다.

모든 기억들, 심지어 덧없이 흘러가는 기억들도 뉴런에서 뻗어나가는 축색돌기(axon)라는 작은 가지들이 서로 연결될 때 만들어진다.

시냅스(synapses)라고 불리는 이 연결점들은 마치 악수하는 것과 같아 강할 수도 있고 약할 수도 있다. 만약 연결이 약하면 기억은 사라질 수 있다. 반대로 강하다면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일반적인 뇌 활동에서 뉴런들은 축색돌기(axon)를 따라 이동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전기신호가 시냅스로 불리는 연결점에 도달하면 신경전달물질이 방출된다. 이 신경전달물질이 다른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해 전기적 활동을 변화시킨다. 기억의 경우 해마의 뉴런 중심체에서 생성된 CPEB3가 축색돌기를 따라 이동해 시냅스에서 방출됨으로써 기억 생성과 유지를 돕는다. ⓒ Wikimedia / NIH / NIA

 

 

CPEB3 단백질 없으면 기억 사라져

연구자들은 최근 시냅스를 강화하면 해부학상으로 관찰이 가능한 변화를 일으킨다고 보고했다. 2015년 캔들 박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이런 해부학적 변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CPEB3라는 단백질을 확인해 냈다. 이들은 기억이 형성되고 떠올려질 때 뇌의 시냅스에 CPEB3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이 쥐에게서 CPEB3가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하자 쥐는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기는 했으나 이를 그대로 유지하지는 못했다.

논문 공동 시니어저자인 루아나 피오리티(Luana Fioriti) 박사(이태리 밀라노 소재 마리오 네그리 약학연구소 수석 연구원)는 “CPEB3가 존재하지 않자 시냅스 연결이 끊어지고 기억이 사라졌다”며, “뉴런 안에서 CPEB3의 정확한 기능을 발견한 것이 이번 연구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밝혔다.

기억의 생성과 안정화

CPEB3는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 내 뉴런의 중심체 안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생성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일단 CPEB3가 생성되면 이를 휴면상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분리된 방인 P체(Processing bodies,P-bodies)로 옮겨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논문 공동 제1저자인 렌지 포드(Lenzie Ford) 캔들교수실 박사후 연구원은 “P체에는 CPEB3를 담을 수 있는 세포막 같은 물리적 장벽이 없다”고 말하고, “대신 P체는 주변보다 밀도가 더 높아 이 밀도 차이가 P체들을 서로 붙어있도록 함으로써 CPEB3가 세포의 다른 부분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안에 남아있게 하는 일종의 생물물리학적 힘의 장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

P체가 일단 휴면 CPEB3로 가득 차면 뉴런의 중심을 떠나 신경가지를 따라 시냅스 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동물이 어떤 경험을 하고 기억을 형성하기 시작하면 P체는 용해되고, CPEB3가 시냅스로 방출돼 기억 생성을 돕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CPEB3가 더 많이 방출되면 이 시냅스들은 강화된다. 이는 뉴런의 해부학적 상태를 변화시키고 그 결과 기억이 안정화된다.

 

해마에서 뻗어나온 피라미드형 뉴런(녹색) 모습. ⓒ Wikimedia / PLoS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의 유망한 타깃”

캔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단백질 합성이 기억 유지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추가적인 과정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번 연구는 최첨단의 생화학, 유전학 및 현미경 도구를 통합해 비할 데 없이 상세하게 기억의 멋진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보여준다”고 평했다.

이번 연구는 기억에 대해 밝힌 내용 외에 기억 상실로 특징지어지는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통찰력도 보여준다. 기억 저장에서 CPEB3의 중요성이 입증되었고 인체의 뇌에도 CPEB3의 한 버전이 존재하기 때문에, 연구팀은 이 단백질을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에서 관심을 기울여 볼 수 있는 유망한 영역으로 보고 있다.

피오리티 박사는 “시냅스가 어떻게 형성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강화되는지에 대한 과학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이 기억이 연관된 시냅스들이 퇴화하고 죽어가는 질환들을 해독하는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기억에 대한 이런 이해를 계속 구축해 나감으로써 언젠가는 시냅스 퇴화를 막아 기억 손실을 늦출 수 있도록 CPEB3를 증강시키는 유용한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김병희 객원기자


기사원문 바로가기 ↓

 

 

 

 

 

 

 

조회 수 :
188
등록일 :
2019.08.23
08:25:30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65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1745 노화로 인한 기억력 감퇴 막는 '간단 비법'은? 불씨 127 2020-07-31
노화로 인한 기억력 감퇴 막는 '간단 비법'은? 문세영 입력 2020.07.29. 11:09 수정 2020.07.29. 11:13 댓글 1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jacoblund/gettyimagesbank]나이가 들면서 기...  
1744 [헬린이 PT안내서] 거북목 증후군·굽은 어깨 ..운동으로 벗어나기 불씨 237 2020-07-30
[헬린이 PT안내서] 거북목 증후군·굽은 어깨 ..운동으로 벗어나기 입력 2020.07.29. 09:00 댓글 0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21>  Y래이즈· 백익스텐션 운동과 마사지 하는 법 편집자주 ※ 예뻐지기 위해...  
1743 “신은 누구인가?” 충격에 빠트린 AI의 답변 불씨 159 2020-07-29
“신은 누구인가?” 충격에 빠트린 AI의 답변 기사입력 2020.07.28. 오후 2:11 최종수정 2020.07.28. 오후 4:48               아래 두 화자의 대화가 있습니다. 누가 인간이고 누가 '인공지능(AI)'일까요?   A - 간단한 질문 하나 할게요. 누가 이 지구를 만들...  
1742 곰팡이·세균 활기치는 장마철.. 주의할 피부질환 4가지 불씨 134 2020-07-28
곰팡이·세균 활기치는 장마철.. 주의할 피부질환 4가지 유대형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7.26. 12:01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덥고 습한 장마철에는 곰팡이와 세균이 왕성하게 활동해 피부질환을 유발한...  
1741 더운 여름에도..젊은 피부 만드는 식품 6 불씨 121 2020-07-27
더운 여름에도..젊은 피부 만드는 식품 6 권순일 입력 2020.07.25. 11:05 댓글 1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master1305/gettyimagesbank]여름철 뜨거운 햇볕과 높은 온도는 피부 노화를 ...  
1740 올겨울 코로나19·독감 같이 온다.."무료접종 대상 접종 필수" 불씨 125 2020-07-26
올겨울 코로나19·독감 같이 온다.."무료접종 대상 접종 필수" 김잔디 입력 2020.07.25. 09:56 댓글 368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무료 접종 대상자 대폭 늘어 생후 6개월∼만 18세까지 어르신 ...  
1739 여름철 운동 시 지켜야 할 수칙 4가지 불씨 118 2020-07-25
여름철 운동 시 지켜야 할 수칙 4가지 입력 2020.07.22. 09:35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옷차림이 가벼워지고, 휴가가 있는 여름철. 운동 강도를 높이려고 땀복까지 입고 운동을 하는 ...  
1738 수천가지 바이러스 품어도 멀쩡···박쥐의 생존 비밀 풀렸다 불씨 217 2020-07-24
수천가지 바이러스 품어도 멀쩡···박쥐의 생존 비밀 풀렸다 기사입력 2020.07.23. 오후 12:12 최종수정 2020.07.23. 오후 12:38      관박쥐 등 6종 게놈 분석 관박쥐. Daniel Whitby 네이처 제공=연합뉴스 그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원인 ...  
1737 운동, 충분히 하려면 세 종목이 이상적(연구) 불씨 122 2020-07-23
운동, 충분히 하려면 세 종목이 이상적(연구) 이용재 입력 2020.07.22. 14:57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JV_PHOTO/gettyimagebank]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을 위해 적어도 일주...  
1736 설탕을 끊어야 하는 진짜 이유 4 불씨 174 2020-07-22
설탕을 끊어야 하는 진짜 이유 4 입력 2020.07.20. 00:11 댓글 2개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당 떨어진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나, 설마 설탕 중독? 설탕에 관한 팩폭 조언을 공개한다. 「 설탕 플렉스~해도 괜찮을까? 」 ...  
1735 기본인데 잘 안 지키는 '소화 습관' 5가지 불씨 122 2020-07-21
기본인데 잘 안 지키는 '소화 습관' 5가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7.20. 15:52 댓글 226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소화가 잘 되려면, 30회 이상 씹고, 맵고 뜨거운 음식을 피하고, ...  
1734 중년 건강은 근력이 원천, 근육에 좋은 식품은? 불씨 290 2020-07-20
중년 건강은 근력이 원천, 근육에 좋은 식품은? 김용 입력 2020.07.19. 16:08 댓글 4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spukkato/gettyimagesbank]최근 근력이 건강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근력은 우리 ...  
1733 더워진 날씨에 곰팡이 등 이물 혼입 주의! 불씨 129 2020-07-19
더워진 날씨에 곰팡이 등 이물 혼입 주의! 김경림 입력 2020.07.15. 10:50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 김경림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온도 및 습도가 높은 무더운 여...  
1732 코로나19, 가장 흔한 증상은 '기침'..무기력증, 근육통 등 비특이 증상도 잇따라 불씨 624 2020-07-18
코로나19, 가장 흔한 증상은 '기침'..무기력증, 근육통 등 비특이 증상도 잇따라 전미옥 입력 2020.07.16. 15:23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 [쿠키뉴스] 전미옥 기자 = '기침'과 '객담...  
1731 뇌는 안 쓰면 쇠퇴..기억력 향상을 위한 건강습관 4 불씨 149 2020-07-17
뇌는 안 쓰면 쇠퇴..기억력 향상을 위한 건강습관 4 문세영 입력 2020.07.16. 14:25 수정 2020.07.16. 14:28 댓글 0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AntonioGuillem/gettyimagesbank]익숙한 목소리와 낯...  
1730 장마철 불청객 이겨내고 건강한 여름나기 [건강, 아하 그렇구나] 불씨 115 2020-07-16
장마철 불청객 이겨내고 건강한 여름나기 [건강, 아하 그렇구나] 대전을지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오한진 교수 입력 2020.07.14. 07:02 댓글 0개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스포츠경향] 본격적인 무더위에 앞서 장마철을 맞았...  
1729 나도 모르게 '상처' 덧나게 하는 행위 3 불씨 249 2020-07-15
나도 모르게 '상처' 덧나게 하는 행위 3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7.14. 14:37 수정 2020.07.14. 14:40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과도한 항생연고 도포는 상처 회복을 방해할 ...  
1728 오래 살기 위해 걷고, 건강수명 위해 근력운동을 해라 불씨 207 2020-07-14
오래 살기 위해 걷고, 건강수명 위해 근력운동을 해라 김용 입력 2020.07.12. 16:16 수정 2020.07.12. 16:26 댓글 5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baona/gettyimagesbank] 코로나19로 인해 집에서 머무...  
1727 맛, 건강에 모두 좋은 여름철 보양식 8 불씨 112 2020-07-13
맛, 건강에 모두 좋은 여름철 보양식 8 권순일 입력 2020.07.12. 13:15 댓글 1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bhofack2/gettyimagesbank]습하고 더운 요즘 같은 때는 입맛도 없고, 무기력해...  
1726 곰팡이 폈을 때..먹거나 버려야 할 음식 구별법 불씨 264 2020-07-12
곰팡이 폈을 때..먹거나 버려야 할 음식 구별법 권순일 입력 2020.07.11. 13:15 [사진=Andrii Koltun/gettyimagesbank]요즘 같은 여름철에는 식품을 적절하게 보관하지 않았다가 곰팡이가 끼는 일이 발생하기 쉽다. 우리 주변 식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곰팡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