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And 건강] 온몸 갉아먹는 입안 세균, 혈관 침투 막아라

국민일보  기사입력: 2019년.02.26  04:04

 

40대 남성이 지난 19일 강북삼성병원에서 치과 검진을 받은 뒤 칫솔질 교육을 받고 있다. 치주질환을 예방하려면 타고난 건강한 치아와 잇몸, 올바른 양치 습관, 정기적인 구강검진 등 3박자가 맞아야 한다.

 

 

[새해 건강약속 이것만은 꼭!] <7> 구강위생 관리 철저히

 

 

입안에는 약 700여종 세균 서식… 이들 중 일부 충치·치주질환 원인

30대 기점으로 충치 발생률 줄고 뇌졸중·혈관성치매 등 각종 질병 유발·악화시키는 치주질환 증가

충치·치주질환 등 예방 위해선 올바른 양치질·치실 사용 생활화

1년에 한 번 이상 스케일링 중요

 

입안에는 약 700종의 세균이 살고 있다. 잇몸이 건강한 사람이 1분 동안 가글링해 뱉은 물 안에 약 10억마리의 세균이 존재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이들 세균 중 일부가 충치와 치주질환(잇몸병)을 일으킨다.

 

한국인의 구강건강 수준은 그리 높지 않다. 만 12세 아동의 충치(치아우식증) 경험률은 점차 감소 추세이나 1인당 평균 충치 경험 영구치 수는 1.9개(2015년 기준)로 세계 평균(1.86개)보다 많다. 정부는 2020년까지 12세의 충치 경험 치아 수를 1.4개로 낮추기로 했지만 목표 달성이 쉽진 않다. 충치는 만 6세부터 늘기 시작해 20세 무렵 되면 경험률이 90%를 넘는 등 대다수 국민이 겪는 질환이어서 무엇보다 예방적 노력이 중요하다.

 

충치 발생률은 30대를 기점으로 낮아지고 이후에는 치주질환이 증가한다. 흔히 ‘풍치’로 불리는 치주질환 관리는 최근 구강보건 영역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970~80년대 칫솔질 등 개인구강관리가 보편화되면서 점차 줄어들던 국내 치주질환 유병률은 2013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2015년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성인 4명 가운데 1명(유병률 26.4%), 만 65세 이상 노인은 절반 가까이(48.5%)가 치주병을 앓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의 43.3%가 이로 인해 음식 씹기 불편을 호소했고 20개 이상 치아를 보유한 노인은 54.7%에 그쳤다. 반면 노인의 구강 검진율은 21.7%에 불과했다.

 

치주질환은 전신에 각종 질병을 만들고 악화시키는 것으로 속속 밝혀지고 있다. 치아를 감싸고 있는 잇몸(치은)과 치아를 잡아주는 그 아래 뼈(치조골)에 염증이 생기는 것인데, 가볍게 생각하다간 온몸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고 생명까지도 앗아갈 수 있다. 지금까지의 국내외 연구결과를 보면 치주질환은 뇌졸중과 혈관성치매, 심혈관질환, 당뇨병, 류머티즘성관절염,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 성기능장애, 췌장암, 황반변성 등의 발병 위험을 높인다.

 

치주병이 전신질환에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 대해선 잇몸 주변 세균과 그 부산물, 또 치주 병소(病巢·병터)에서 만들어진 염증 매개물질(사이토카인) 등이 혈관 안으로 침투해 혈류를 타고 다니며 전신에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입안에 사는 세균이 동맥경화반(혈관내 찌꺼기 덩어리)과 심장 판막에서 발견되는 것은 이런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입안의 세균이 혈관 속을 흘러 다니며 몸 곳곳을 야금야금 갉아먹는 셈이다.

 

대한치주과학회는 “치주염이 있는 사람은 칫솔질에 의해 유해 세균의 혈관 유입 가능성이 더 커지고, 들어가는 세균 수도 (건강한 잇몸 보유자보다) 훨씬 더 많다는 보고들이 있다. 전신질환의 발생 가능성은 그만큼 더 커진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머지 않아 잇몸병이 비만처럼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보건복지부가 올해 구강보건 전담부서인 구강정책과를 별도로 신설한 것도 이런 배경과 무관치 않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통합건강팀 김진선 주임 전문원은 25일 “구강질환의 경우 다른 질병에 비해 건강보험 보장율이 낮아, 국민 개개인이 느끼는 치료비 부담이 매우 크고 소득 계층 간 구강건강의 불평등도 심화되고 있어 국가 차원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충치 및 치주질환과 그로 인한 전신질환 예방의 답은 이미 나와 있다. 올바른 양치질과 치실 및 치간칫솔 사용의 생활화, 1년에 최소 한 번 이상 스케일링(40대 이후는 6개월마다 한 번),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3~6개월마다 정기 구강검진을 지키는 것이다.

 

 

 

 

실제 분당서울대병원이 최근 유럽심장학회지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양치질을 하루 한 번 더 하거나 스케일링을 규칙적으로 하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각각 9%, 14% 감소하는 걸로 확인됐다. 다만 자신의 양치질이 바른 방법인지는 살펴봐야 한다.

 

치주과학회 홍보위원회는 “환자들 중에 하루 10번씩 이를 닦는데 왜 잇몸에 염증이 생기냐고 묻는 이들이 많은데, 치과에서 직접 칫솔질하는 모습을 지켜봤더니 딱 45초 닦았다”면서 “칫솔질은 횟수가 아니라 올바른 방법으로 하는 게 중요하고 잘못된 방법으로 열심히 닦는 것은 소용이 없다”고 설명했다.

 

강북삼성병원 치과 서종철 교수는 “양치질은 ‘치아를 깨끗이 닦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치아와 치아 사이, 잇몸 틈새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빼낸다’는 의미의 양치질을 해야 한다”면서 “그래서 좌우가 아니라 치아의 결에 따라 위·아래로 쓸어내리고 올리는 방식으로 칫솔질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치과 최용훈 교수도 “칫솔을 잇몸 쪽으로 치면에 45도 각도로 대서 치아와 잇몸 사이에 밀어넣고 짧게 진동을 주면 잇몸 사이에 칫솔모가 깊숙이 들어가 음식 찌꺼기나 치석을 제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과거 ‘333 방식’(하루 3번, 식후 3분안, 3분씩 칫솔질)의 양치질이 권장됐는데, 최근 미국치과의사협회는 하루 3번, 3분씩 양치하면 아이들의 경우 치아와 잇몸에 무리가 갈 수 있다면서 최소 하루 2번(아침 식사 후와 잠자기 전), 2분 이상 양치질해도 족하다는 식으로 권장 사항을 바꿨다”고 덧붙였다.

 

칫솔이 닿지 않는 잇몸 사이와 치아 틈새의 경우 하루 한 번씩 꼭 치실이나 치간칫솔을 사용해 이물질을 빼내야 한다. 특히 잇몸이 많이 내려가 치아 뿌리가 노출된 경우엔 치간칫솔로 오목한 부위를 닦아줘야 한다. 서종철 교수는 “아울러 이갈이와 이를 앙다무는 습관,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무리하게 씹는 것도 치주건강에 좋지 않으니 되도록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양치로는 치석이 쌓이는 걸 100% 막을 수 없기 때문에 3~6개월에 한 번씩 치과를 찾아 자신의 구강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만 19세 이상은 연 1회 스케일링에 건강보험도 적용된다. 격년으로 시행되는 무료 국가구강검진도 빼먹지 말아야 한다.

 

 

신호철 강북삼성병원 병원장

 

 

치주질환 초기엔 증상이 전혀 없기 때문에 중증으로 진행돼서야 병원에 오는 경우가 많다. 잇몸이 붓고 피가 날 정도면 이미 잇몸건강에 빨간불이 들어온 것과 다름없다. 최용훈 교수는 “그래서 정기 구강검진이 중요하며 가능하면 한군데 치과를 정해 고정적으로 점검받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 신호철 강북삼성병원 병원장

“늘그막의 질병, 젊었을 때 불러들인것… 건강한 습관 실천이 중요”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예방과 치료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하지만 평소 실천하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어요.”

 

강북삼성병원 신호철(사진) 병원장은 25일 “국민일보가 연초부터 보도한 7가지 주제의 ‘새해 건강약속, 이것만은 꼭!’ 시리즈는 한국인 대상 대규모 코호트(특성 공유 집단)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된 내용들로 구성됐다”면서 “거창한 계획을 세울 게 아니라 생활 속에서 자신이 쉽게 할 수 있는 것부터 선택해 꾸준히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건물 내 계단 오르내리기, 식사 때 한 숟가락 남기기, 탄산음료 대신 물과 보리차 마시기 등 많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면서 “이런 내용들은 아무리 바빠도 시간을 내서 해야 하고 조금 불편해도 감수하고 해야만 습관을 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신 원장은 그러면서 중국의 현자인 노자가 한 말을 인용했다. ‘늘그막의 질병은 모두 젊었을 때 불러들인 것이요. 쇠퇴한 후의 재앙은 모두가 번성했을 때 지은 것이다. 그러므로 성하고 가득 찬 것을 지니고 누릴 때 더욱 조심해야 한다.’ 신 원장은 “젊을 때부터 건강한 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말해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병(有病) 장수시대에 중요한 것은 정확한 의학지식을 알고 실천하는 것”이라고 했다. 잘못된 정보는 잘못된 실천으로 이어지고 쓸데없는 두려움과 걱정을 끼쳐 결국 건강을 해치는 결정적 단초가 된다는 것이다.

 

신 원장은 “요즘 인터넷에 떠도는 건강 정보 가운데는 잘못됐거나 허황된 것이 많다. 일반인이 옥석을 가리긴 쉽지 않은 만큼 평소 자신의 건강상태를 잘 아는 주치의를 정하고 꾸준히 상담받는다면 자신에게 맞는 유용한 정보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사진=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

 

[네이버 메인에서 채널 구독하기]

[취향저격 뉴스는 여기] [의뢰하세요 취재대행소 왱]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출처:https://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3&cid=992749&iid=1337687&oid=005&aid=0001175797&ptype=021

 

 

조회 수 :
182
등록일 :
2019.03.01
10:09:42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555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2145 [건강을 읽다]걸음 부쩍 느려진 부모님 '근감소증' 주의 불씨 266 2018-05-07
[건강을 읽다]걸음 부쩍 느려진 부모님 '근감소증' 주의 | Daum 뉴스   아시아경제   [건강을 읽다]걸음 부쩍 느려진 부모님 '근감소증' 주의 서소정 입력 2018.05.06. 11:33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65세 손모씨는 최근 걸음이 부쩍 느려지고 앉았다 일어...  
2144 관절 아플 때 운동법 6 불씨 332 2018-05-07
관절 아플 때 운동법 6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관절 아플 때 운동법 6   입력 F 2018.05.05 08:53 수정 2018.05.05 08:53   관절이 아프면 운동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면, 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운동을 쉬어야 할까. 전문가들은 "관절염 등 ...  
2143 "중국이냐 미국이냐" 선택 기로에 선 북한 불씨 192 2018-05-08
"중국이냐 미국이냐" 선택 기로에 선 북한 | Daum 뉴스  ,  동아일보 & donga.com   "중국이냐 미국이냐" 선택 기로에 선 북한 입력 2018.05.06. 14:29 수정 2018.05.06. 20:11댓글 870개SNS 공유하기   [주간동아] 북한이 공개한 장거리미사일. 이 중 미...  
2142 무서운 혈전 나타났다는 징후 7 불씨 230 2018-05-08
무서운 혈전 나타났다는 징후 7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무서운 혈전 나타났다는 징후 7   입력 F 2018.05.06 08:12 수정 2018.05.06 08:23   혈전(피떡)은 혈관이나 심장 속에서 혈액 성분이 국소적으로 응고해서 생기는 응어리를 말한다. 건...  
2141 색깔의 심리학...녹색은 창조, 빨간색은? 불씨 503 2018-05-09
색깔의 심리학...녹색은 창조, 빨간색은?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색깔의 심리학...녹색은 창조, 빨간색은?   입력 F 2018.05.07 10:44 수정 2018.05.07 10:44   독일 뮌헨 대학교 연구팀에 따르면 공부할 때 집중력이 떨어지고 둔해진다면 잠깐...  
2140 침 속에 들어 있는 건강 정보 4 불씨 262 2018-05-09
침 속에 들어 있는 건강 정보 4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침 속에 들어 있는 건강 정보 4   입력 F 2018.05.08 08:45 수정 2018.05.08 08:45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 대학 부속 '침 생명과학 연구소'에 따르면 입 속의 침에는 귀중한 데이터가 ...  
2139 골절 예방 위해 신경 써야 할 6가지 불씨 187 2018-05-10
골절 예방 위해 신경 써야 할 6가지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 골절 예방 위해 신경 써야 할 6가지   입력 F 2018.05.08 11:30 수정 2018.05.08 11:30     나이 먹은 사람이 자기 삶의 독립성을 지키고자 한다면 무엇보다 뼈 건강에 신경 써야 ...  
2138 버스 승용차보다 안전, 이유는? (연구) 불씨 206 2018-05-10
버스 승용차보다 안전, 이유는? (연구)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버스 승용차보다 안전, 이유는? (연구)   입력 F 2018.05.09 20:32 수정 2018.05.09 20:32     버스가 승용차보다 안전한 교통수단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  
2137 부모님 몸은 아직 '겨울', 야외활동 도우려면? 불씨 198 2018-05-11
부모님 몸은 아직 '겨울', 야외활동 도우려면?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 부모님 몸은 아직 '겨울', 야외활동 도우려면?   입력 F 2018.05.08 16:21 수정 2018.05.08 16:21     어버이날 부모님께 카네이션을 달아 드리는 것도 좋지만, 봄철 건...  
2136 ‘식도암’ 사망률, 남성이 여성의 9.5배…무엇이 원인일까 불씨 213 2018-05-11
‘식도암’ 사망률, 남성이 여성의 9.5배…무엇이 원인일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http://health.chosun.com ‘식도암’ 사망률, 남성이 여성의 9.5배…무엇이 원인일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lhn@chosun.com 입력 : 2018.05.10 16:49     식도암 사망률은 ...  
2135 기분 좋게하는 '행복 호르몬' 늘리는 4가지 방법 불씨 457 2018-05-12
기분 좋게하는 '행복 호르몬' 늘리는 4가지 방법 | Daum 뉴스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기분 좋게하는 '행복 호르몬' 늘리는 4가지 방법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05.11. 17:38 수정 2018.05.11. 17:49댓글 4개   우리 기분은 호르몬에 ...  
2134 호흡 바로 하면 건강수명 늘어.. 올바른 호흡법이란? 불씨 351 2018-05-12
호흡 바로 하면 건강수명 늘어.. 올바른 호흡법이란? | Daum 뉴스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호흡 바로 하면 건강수명 늘어.. 올바른 호흡법이란?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05.11. 17:30   호흡만 잘해도 건강해진다. 강동경희대병원 호흡기내...  
2133 행복하면 심장병↓..행복한 느낌 가지는 법 4 불씨 201 2018-05-13
행복하면 심장병↓..행복한 느낌 가지는 법 4 | Daum 뉴스  / 코메디닷컴 행복하면 심장병↓..행복한 느낌 가지는 법 4   권순일 입력 2018.05.13. 13:05   미국 하버드 대학교 공중보건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행복한 느낌을 가지면 각종 질병에서 심장을 보호하...  
2132 걷고 달리기 좋은 봄… '필수 근육'도 반드시 챙기세요 불씨 414 2018-05-14
걷고 달리기 좋은 봄… '필수 근육'도 반드시 챙기세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걷고 달리기 좋은 봄… '필수 근육'도 반드시 챙기세요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24 06:15 [전문가 6인이 알려주는 '중장년이 지켜야 ...  
2131 더부룩한 '소화불량'.. 원인은 음식이 아니었다? 불씨 413 2018-05-15
더부룩한 '소화불량'.. 원인은 음식이 아니었다? | Daum 뉴스 /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더부룩한 '소화불량'.. 원인은 음식이 아니었다?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05.14. 16:14 수정 2018.05.14. 16:17   소화불량은 위장운동에 이상이 생...  
2130 스트레스 받을 때, 꿀잠 자고 싶을 때… '건강 호흡법' 따로 있다 불씨 313 2018-05-16
스트레스 받을 때, 꿀잠 자고 싶을 때… '건강 호흡법' 따로 있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스트레스 받을 때, 꿀잠 자고 싶을 때… '건강 호흡법' 따로 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7/2018050701459.html   [호흡과...  
2129 뇌 건강에 좋은 식습관 5 불씨 263 2018-05-17
뇌 건강에 좋은 식습관 5 | Daum 뉴스 /코메디닷컴 뇌 건강에 좋은 식습관 5 권순일 입력 2018.05.16. 08:55   뇌가 제대로 기능을 하려면 식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웹 엠디'에 따르면 건강한 뇌를 유지하기 위한 몇 가지 현명한 식사 습관이 있다. 하지만...  
2128 술(酒)과 간(肝) 사이, 우리가 알아야 할 상식들 불씨 221 2018-05-18
술(酒)과 간(肝) 사이, 우리가 알아야 할 상식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술(酒)과 간(肝) 사이, 우리가 알아야 할 상식들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5.16 08:00     비싼 술, 저렴한 술 모두 간을 손상시키는 정도는 같다. 간 손상을 최...  
2127 일교차 심한 날씨, 돌연사 부르는 '부정맥' 주의해야 불씨 247 2018-05-19
일교차 심한 날씨, 돌연사 부르는 '부정맥' 주의해야 | Daum 뉴스 일교차 심한 날씨, 돌연사 부르는 '부정맥' 주의해야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8.05.18. 17:04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는 일교차도 커진다. 바로 '부정맥'이다. A. 부정맥은 심근경색과 ...  
2126 과식 피하며 식사 잘 하는 요령 5 불씨 189 2018-05-20
과식 피하며 식사 잘 하는 요령 5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과식 피하며 식사 잘 하는 요령 5   입력 F 2018.05.20 11:02 수정 2018.05.20 11:02     건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식사를 제대로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와 함께 과식하지 않도록 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