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여성이 더 장수? 건강수명은 비슷..치매가 핵심

김용    입력: 2019년 2월 10일 14:00

[사진=Viktoriia Hnatiuk/shutterstock]

 

 

'건강수명'은 아프지 않고 오래 사는 것을 의미한다. 장수 노인이라 하더라도 수십 년을 앓아 누워 있다면 '장수'의 의미가 퇴색할 수 밖에 없다. 치매는 건강수명을 해치는 핵심 요인 중의 하나이다.

 

사랑하는 가족조차 알아보지 못하는 치매는 본인 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가혹한 병이다.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이다. 서서히 발병해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이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무서운 병이다.

 

미국 알츠하이머병 학회에 따르면 치매 환자의 3분의 2가 여성이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치매가 잘 나타나고 진행도 빠르다는 연구결과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학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신경학'(Neurology) 최신호(2월 4일 자)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여성은 치매와 관련된 뇌 신경세포의 핵심 단백질 병변이 남성보다 심하게 나타난다. 여성의 치매 발생률이 남성에 비해 높은 것은 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성은 뇌 신경세포의 표면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가 서로 뭉치는 현상 뿐 아니라 신경세포 내부 단백질인 타우의 엉킴이 남성보다 강하다는 것이다. 두 단백질이 서로 뭉치거나 엉키면 독성을 띠면서 신경세포가 죽고 치매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연구팀은 여성은 태어날 때부터 남성과의 생물학적 차이로 인해 치매 관련 뇌 신경세포의 변화가 두드러진다고 주장했다. 이 논문의 결론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치매와 관련된 남녀의 생물학적 차이도 추정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의 연구에 따르면 국내 여성은 남성보다 수명은 길지만,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건강수명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이 작년 12월 발표한 생명표(2017년)에 따르면 남자는 79.7년, 여자는 85.7년 살 것으로 예상됐다. 여성이 더 장수하는 것은 확실하지만, 이제는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 핵심 포인트이다.

 

질병관리본부가 건강수명을 좌우하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환경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결혼상태(별거, 이혼 등)와 가족구성원 수가 중요 요인이었다.

 

특히 2인 가족과 5인 이상의 가족과 함께 사는 65세이상 여성은 같은 나이의 혼자 사는 여성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간의 갈등 요인이 여성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결과이다.

 

이 연구에서 치매 등 질병관련 삶의 질은 다뤄지지 않았지만 건강수명의 핵심 요인일 것이다. 여성 독거노인은 남성에 비해 질병에 더 많이 걸린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여성 노인은 1인당 평균 2.7개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데 관절염, 고혈압, 신경통, 골다공증, 당뇨병 등의 순이었다. 이는 남성 독거노인의 평균 질병 수보다 1.6배 높은 수치이다. 치매는 본인이 응답할 수 없어 빠진 것으로 보인다.

 

여성이 남성보다 장수한다는 것은 수많은 통계과 연구결과에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활발한 일상생활이 가능한 건강수명이 핵심이다.

 

여성의 건강수명을 늘리기 위해서는 남성보다 취약한 사회환경적 요인을 개선하고, 치매 등 건강 위험요소를 중년부터 미리 차단하는 게 관건이다.

 

본인은 물론 가족, 국가에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중년부터 위암, 대장암 등 무료로 진행되는 국가 건강검진을 꼭 받고 지방자치단체, 보건소 등에서 수시로 개설하는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수십 년 간 누워서 오래 사는 것보다 가족과 함께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 장수의 핵심 포인트이다.

 

김용 기자 (ecok@kormedi.com)

 

 

출처:https://news.v.daum.net/v/20190210140230153

 

조회 수 :
165
등록일 :
2019.02.11
06:44:40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538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1280 지역별 인기 관광지는.."서울 경복궁, 제주 성산일출봉" 불씨 136 2017-10-04
지역별 인기 관광지는.."서울 경복궁, 제주 성산일출봉"| Daum라이프 지역별 인기 관광지는.."서울 경복궁, 제주 성산일출봉"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통계.."부산, 누리마루 APEC하우스"연합뉴스 | 입력 2017.10.03 11:01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지난...  
1279 나이 들수록 근육 줄며 '근감소증' 생겨.. 예방법 무엇? 불씨 136 2017-07-31
나이 들수록 근육 줄며 '근감소증' 생겨.. 예방법 무엇?| Daum라이프 나이 들수록 근육 줄며 '근감소증' 생겨.. 예방법 무엇? 근육량 60세 30%, 80세 50% 감소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7.31 08:00     나이 들면 근육량이 급격히 감소한...  
1278 갈등 해결하는 소통의 법칙 9가지 불씨 136 2017-06-19
갈등 해결하는 소통의 법칙 9가지| Daum라이프 갈등 해결하는 소통의 법칙 9가지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6.18 15:48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갈등이 전혀 없을 때 가능하다기보다 그 갈등을 푸는 방법을 두고 합의해 나가는 과정을 ...  
1277 온갖 질병과 직결된 '혈액'… 깨끗하게 만드는 방법 불씨 135 2024-05-23
온갖 질병과 직결된 '혈액'… 깨끗하게 만드는 방법 한희준 기자2024. 5. 20. 06:30       아침에 일어나 미지근한 물 한 잔을 마시면 혈액이 원활하게 흐른다./클립아트코리아 총연장 길이가 12만㎞인 혈관 속에는 우리 몸의 '방어군'인 혈액이 흐르고 있다. ...  
1276 물, 벌컥벌컥 VS 한 모금씩 여러 번… 건강에 더 좋은 건? 불씨 135 2023-11-28
물, 벌컥벌컥 VS 한 모금씩 여러 번… 건강에 더 좋은 건? 이채리 기자입력 2023. 11. 26. 05:00수정 2023. 11. 27. 10:21         물은 조금씩 천천히 마시는 게 맞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물을 먹지 않다가 갑자기 벌컥벌컥 마시는 경우가 있다. 물을 아예 먹...  
1275 과학적으로 증명된 암 위험 낮추는 식품 7 불씨 135 2022-10-10
과학적으로 증명된 암 위험 낮추는 식품 7 권순일입력 2022. 10. 7. 08:05     [권순일의 헬스리서치]   사과는 항암 및 종양 퇴치 효과가 있는 식품으로 꼽힌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사망 원인 1위는 암이었다. 작년 ...  
1274 소화불량 오래 되면 위암 될까? 불씨 135 2022-07-10
소화불량 오래 되면 위암 될까?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 07. 08. 23:00 댓글 2개     위암, 식도암, 췌장암, 담낭암, 간암 등 초기에는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소화불량이 오래 되어서 암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클립아트코리아 ...  
1273 건강검진, 알고 받자 불씨 135 2022-06-19
건강검진, 알고 받자 박선혜 입력 2022. 06. 16. 11:13     내시경 검사를 진행하는 의료진 모습.   힘찬병원 건강보험 가입자가 보통 2년에 한 번씩 받는 건강검진.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특정 질병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목적이다. 건강검...  
1272 행복을 위해 끊어야 할 7가지 습관 불씨 135 2022-05-14
행복을 위해 끊어야 할 7가지 습관 이보현 입력 2022. 05. 13. 19:01 댓글 21개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싶다면 반드시 개선해야 할 습관이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자기계발서를 보면 더 나은 삶을 위해 당장 이런저런 것을 시작하라는 조...  
1271 걱정 많으면 몸도 폭삭 늙어..떨쳐내는 방법 불씨 135 2022-04-07
걱정 많으면 몸도 폭삭 늙어..떨쳐내는 방법 권순일 입력 2022. 02. 04. 07:53     [권순일의 헬스리서치] [사진=게티이미지뱅크]최근 걱정이 많은 중년 남성들은 정신건강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당뇨병, 심장병, 뇌졸중 등의 질병 발생 위험이 더 높아진다는 ...  
1270 면역력 사흘 만에 끌어올리는 법 불씨 135 2021-11-16
면역력 사흘 만에 끌어올리는 법 이용재 입력 2021. 11. 12. 14:01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 19가 여전한 가운데 독감 시즌까지 겹쳤다. 면역력이란 말에 솔깃해진다. 그러나 왕도는 없다. 백신을 맞고, 마스크를 쓰고, 손을 잘 씻으며, 거리 두기를 ...  
1269 건강 100세의 적 '근감소증'..노화 및 뇌졸중·골다공증·치매 등 주의 불씨 135 2021-10-17
건강 100세의 적 '근감소증'..노화 및 뇌졸중·골다공증·치매 등 주의 강석봉 기자 입력 2021. 10. 16. 12:05     [스포츠경향] 재활의학과 유승돈 교수.고령사회가 가속화되면서 주목받는 질환 중 하나로 근감소증(Sarcopenia)이 있다. 근감소증은 말 그대로 ...  
1268 운동 잘못 하다 탈모 올라, 운동할 때 챙겨야 하는 3가지 불씨 135 2021-08-27
운동 잘못 하다 탈모 올라, 운동할 때 챙겨야 하는 3가지 기사입력 2021.08.23. 오후 2:58   충분한 물과 단백질 섭취, 휴식을 지키면 운동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Giphy   [파이낸셜뉴스] 적정량의 운동은 면역력을 증진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  
1267 운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6 불씨 135 2021-06-13
운동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6 권순일 입력 2021. 06. 12. 17:0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운동을 하면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신체의 전반적인 건강도 향상된다. 운동은 어떻게 이런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일까. '헬스닷컴'에 따르면, 운동은 신체에 다...  
1266 은퇴이후 건강하게 사는 법 13 불씨 135 2021-01-17
은퇴이후 건강하게 사는 법 13 이보현 기자 입력 2021. 01. 15. 13:01 댓글 0개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Viktoriia Hnatiuk/gettyimagesbank]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1955~1963년 사이에 태어난 ...  
1265 건강한 1년을 만드는 작은 실천 9 불씨 135 2021-01-10
건강한 1년을 만드는 작은 실천 9 이보현 기자 입력 2021. 01. 06. 13:01 댓글 0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FeelPic/gettyimagesbank] 코로나 19가 여전히 기승을 떨친다. 지구촌 각국...  
1264 천천히 음미하며..과식 예방하는 식사법 5 불씨 135 2020-10-13
천천히 음미하며..과식 예방하는 식사법 5 권순일 입력 2020.10.12. 09:01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JackF/gettyimagesbank] 건강을 위해서는 식사를 제대로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1263 나이 들어 운동 안하면..근육 녹아내려(연구) 불씨 135 2020-09-17
나이 들어 운동 안하면..근육 녹아내려(연구) 권순일 입력 2020.09.14. 09:01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Mladen Zivkovic/gettyimagesbank]나이가 들면 근육이 줄어 팔다리가 가늘어진다....  
1262 껌 씹기, 설거지.. 건강에 좋은 뜻밖의 습관 5 불씨 135 2020-09-11
껌 씹기, 설거지.. 건강에 좋은 뜻밖의 습관 5  입력 2020.01.22. 08:08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nyul/gettyimagebank]규칙적으로 운동하거나 야채, 과일을 많이 먹으면 건강에 좋다는 ...  
1261 "스트레스 너무 심하다"..몸이 보내는 신호 5 불씨 135 2020-05-30
"스트레스 너무 심하다"..몸이 보내는 신호 5 권순일 입력 2020.05.28. 09:01     [사진=ING alternative/gettyimagesbank] 스트레스라는 말은 원래 물리학 영역에서 '팽팽히 조인다'라는 뜻의 라틴어(stringer)에서 나왔다. 의학 영역에서는 캐나다의 내분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