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움직이면 변하는 몸 '운동, 제대로 하자'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움직이면 변하는 몸 '운동, 제대로 하자'

  •  
  •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 사진 김지아 헬스조선 기자, 셔터스톡

     

  • 도움말 정성근(서울대병원재활의학과 교수)
  • 참고도서 ‘백년 목’ ‘습관이 건강을 만든다’

     

입력 : 2018.03.09 08:00

SPECIAL 연중기획 건강 습관 리모델링

운동은 건강한 삶의 기본이다. 면역력을 키워주고, 암을 예방하며, 정서적 안정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 그러나 제대로 된 운동 습관을 가지기란 쉽지 않다. 우리나라 국민의 3분의 1은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다(15세 이상, 보건복지부 통계). 운동은 하지만, 잘못된 강도 때문에 족저근막염·회전근개파열 같은 부상을 입는 사람도 늘어나는 추세다. 운동, 어떻게 습관을 들여야 좋을까?
  달리기 하는 사람

 

PART 1 운동의 건강 효과

규칙적인 운동은 근골격계와 심혈관계를 튼튼하게 하고, 면역력을 높이며, 정신을 건강하게 한다. 영국 옥스퍼드대학병원에서는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3대 위험인자를 ▲흡연 ▲영양부족 ▲신체활동 부족으로 발표하며, 유방암의 10%·결장암의 10%·당뇨병(2형)의 7%·심혈관질환의 6%는 신체활동 부족이 원인이라고 말했다. 운동은 전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운동이 질환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뇌와 운동의 관련성
운동은 근육이나 뼈뿐 아니라, 뇌도 건강하게 한다.

 

연구 1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어바인 캠퍼스 연구팀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운동을 하면 뇌 속에서 치매를 유발하는 단백질이 발견돼도 치매에 걸리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팀은 2003년부터 4년간 65세 이상의 노인 1700명을 대상으로 인지능력을 검사하고, 사망한 뒤에는 부검을 통해 뇌를 살폈다. 치매를 유발하는 단백질이 있어도 치매에 걸리지 않은 사람들의 공통점은 ▲운동을 자주 함 ▲TV를 적게 봄 등이 있었다.

연구 2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운동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참여자들은 실내자전거 기구로 10분간 운동했다. 그 결과, 10분이란 짧은 시간만 운동해도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뇌 부위인 전두엽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3
호주 캔버라대학 연구팀이 ‘영국스포츠의학’ 학술지에 밝힌 바에 따르면 유산소운동은 전반적인 인지능력을, 근력운동은 기억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줬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가장 효과 있는 운동 시간은 1회당 45~60분, 강도는 ‘중간~강함’의 사이였다.
 

조깅하는 남녀

 

PART 2 운동과 거리가 멀다면

우리나라 국민 3분의 1은 운동을 아예 하지 않는다. 이런 사람은 당장 사소한 운동이라도 시작해야 한다. 잠깐이라도 하는 게 좋으며, 따로 헬스장이나 운동 수업을 듣는 게 어렵다면 생활 속 움직임을 늘려야 한다.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는 “30대 이하는 운동 습관을 들이는 게 필수”라며 “나이가 들수록 운동 효율도 떨어지고, 몸이 노쇠해지기 때문에 20~30대 초반까지 올바른 운동습관을 통해 최대한 근육과 뼈를 키워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중장년층이라도 움직였을 때 몸에 통증이 없다면 운동해야 한다.

 

생활 속 움직임 늘리기
작은 활동도 꾸준히 하다보면 효과가 나타난다.
본격적인 운동으로 이어지기에도 좋다.
- TV를 볼 때 제자리걸음·실내자전거·스트레칭 하기
-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으로 올라가기(내려갈 때는 무릎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올라갈 때만 계단 이용)
-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때 한 정거장 전에 내려서 걷기
- 만보기나 운동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매일 걷는 걸음수 체크하고
조금씩 늘리기

 

어떻게 해야 하나?
운동 수준에 따라 신체활동을 얼마나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면 미국 질병관리본부의 운동 권고안을 참고하자. 미국 질병관리본부는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고 있지 않음’에 해당하는 사람은 ‘매일 몇 분이라도 신체활동을 포함시키는 것으로 시작해 점차 중등도 신체활동을 30분 이상 시행하도록 시간을 늘려나감’이라고 권고한다. ‘활동적인 생활을 하고 있으나 권장되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 해당한다면 ‘중등도 신체활동을 한 번에 30분 이상, 주 5일 이상’하거나 ‘활발한 신체활동을 한 번에 50분 이상, 주 3회 이상’하라고 한다. 중등도 신체활동(중강도 운동)은 등에 살짝 땀이 나고 숨이 찰 정도고, 활발한 신체활동(고강도 운동)은 운동이 끝난 42~72시간 뒤에 뻐근한 근육통이 오는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운동 계획 세우기
서울대병원 암통합케어센터 윤영호 교수는 저서 ‘습관이 건강을 만든다’에서 7단계에 따라 1주일치 운동 계획을 세우고 몸을 움직여보라고 권장했다.

1단계 좋아하는 운동 종류를 정한다.
ex) 걷기, 등산, 수영 등

2단계 운동 장소를 정한다.
ex) 거실, 공원, 헬스장 등

3단계 가장 현실적인 운동 시간을 정한다.
ex) 오전 10~11시 등

4단계 하루에 얼마나 운동할지 정한다.
ex) 1회에 30분 또는 하루 2회 20분씩 등

5단계 1주일에 얼마나 운동할지 정한다.
ex) 주 3회, 주 5회 등

6단계 어떤 강도로 운동할지 정한다.
ex) 심박동수 분당 102~132회 또는 중강도 등

7단계
계획대로 한다면 운동 목표량을 달성할 수 있는지 점검한다.


PART 3 개인별 운동 강도

고강도 VS 중강도
운동은 하더라도 제대로 된 강도로 해야 건강에 도움이 된다. 30대 이하며, 운동했을 때 특별한 통증이 없다면 고강도 운동을 해도 된다. 이때는 일주일에 75분 정도, 2~3회 나누어 해야 근육이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일반 중장년층이라면 중강도 운동이 도움된다. 2017년 발표된 울산대 스포츠과학부 이한준 교수팀의 연구 논문에 따르면, 중년층은 고강도 운동을 하는 것보다 중강도 운동을 하는 게 허리둘레와 혈압의 감소에 더 효과적이었다.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중년 여성 80명을 12주간 운동하게 했다. 그 결과, 허리둘레가 고강도 운동 그룹은 0.86㎝ 감소한 반면 중강도 운동 그룹은 4.44㎝ 감소했다. 이완기 혈압이 중강도 운동 그룹은 6.94㎜Hg 감소했지만, 고강도 운동 그룹은 0.89㎜Hg 높아졌다. 중장년층에게 중강도 운동이 좋은 또 다른 이유는 부상을 막을 수 있어서다. 중장년층이 고강도 운동을 하면 디스크나 회전근개파열 등의 부상이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


중강도 운동은 자신의 최대 운동 능력의 60%에 해당한다. 적정 심박수 공식은 ‘((220-나이)-안정 시 심박수)×0.6~0.8+안정 시 심박수’다. 예를 들어 50세 남성이 평소 안정 시 심박수가 70이라고 가정해보자. 최대 운동 능력의 60%로 계산(0.6)해보면 ((220-50)-70)×0.6+70=130이다. 운동할 때 130의 심박수를 유지하면 좋다. 심박수를 스스로 알기 어렵다면 ▲운동할 때 옆 사람과 대화가 가능하나 숨이 차 말하기 쉽지 않다 ▲등에 땀이 맺힌다 같은 증상을 유지하며 움직이면 중강도 운동이 된다. 보통 시속 5~6km로 30분간 빠르게 걷거나, 10번 가량 들어올릴 수 있는 무게로 근력운동을 하면 중강도 운동으로 본다.

 

적정 심박수 공식
((220 - 나이) - 안정 시 심박수)×0.6~0.8 + 안정 시 심박수


질환이 있으면 어떻게 하나
움직일 때 숨이 찬 심장질환자나 혈압이 높은 사람, 당뇨병이 있으면 운동에 주의해야 한다.

 

심장질환
역기들기, 팔굽혀펴기 등 짧은 시간 동안 고강도로 움직이는 운동은 심장에 부담을 준다. 운동 중에는 항상 맥박을 관찰하며, 최대 심박수의 50~75% 정도로 운동하는 게 좋다. 걷기나 수중운동, 실내자전거 등을 권장한다.

 

고혈압
심각한 고혈압 환자(안정 시 수축기 혈압 18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110mmHg 이상)라면 마음대로 운동하면 안 된다. 의사에게 시작하려는 운동 방법과 시간을 상세히 알려준 뒤, 혈압강하제를 처방받고 운동해야 한다. 최대 심박수의 40~70% 정도로 운동해야하며, 걷기나 가벼운 조깅 등을 권장한다.

 

당뇨병
혈당 조절과 합병증 예방을 위해 운동은 필수다. 그러나 혈당이 300mg/dL 이상이거나, 평소 식은땀·두통·가슴 두근거림·얼굴 창백해짐 같은 저혈당 증상이 자주 나타나는 당뇨병 환자는 운동하면 안 된다. 오히려 혈당이 오르거나, 실신할 위험이 있다.

 

‘헬스조선 명의톡톡’ 명의 인터뷰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

“빨리걷기는 1주일에 150분, 조깅은 75분 하세요”

운동이 몸에 좋다는 건 상식이다. 그러나 운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운동을 하더라도, 잘못된 방법을 고수해 몸을 망치기도 한다. 꾸준한 운동은 왜 중요할까? 어떤 운동을 무슨 방식으로 해야 하고, 무엇을 주의해야 할까? 올바른 운동 습관에 대해, 근골격계질환·요통 명의인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에게 들었다.


 

정선근 교수

 

정선근
정선근 교수는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로 주요 진료 분야는 근골격계질환, 요통, 경부통, 견괄절통, 슬관절통이다. 노인성 근감소증의 약물 및 운동 치료, 줄기세포를 이용한 힘줄, 연골, 인대 치료의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이해를 돕기 위한 대중서 발간도 하고 있다.


운동을 제대로 하고 있는 한국인은 얼마나 될까요?
진료 현장에서 만나는 환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 운동이 습관화 된 사람은 3분의 1 정도입니다. 그 3분의 1 중에서도 잘못된 운동 습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것도 문제입니다. 운동을 제대로 하고 있는 사람이 적다는 이야기겠죠. 보건복지부 통계에서도 우리나라 15세 이상 국민의 규칙적인 신체활동 실천율은 32.1%로 나타납니다.

 

제대로 된 운동 습관, 왜 중요합니까?
운동을 하면 뼈와 근육만 튼튼해질까요? 아닙니다. 운동은 심각한 사망 원인인 심장질환·뇌졸중 위험을 낮추고, 치매나 당뇨병같은 만성질환을 예방합니다. 운동을 하면 혈액 내 중성지방, 체지방, 체내 염증이 줄어들고 심혈관 기능이 강화되기 때문이죠. 정신적인 안정감을 주며 스트레스와 우울증 위험도 낮춰줍니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도 이 같은 이유로 운동을 해야 한다고 발표한 적 있습니다. 운동을 했을 때 큰 문제나 통증 없이 건강한 사람이라면, ‘운동=밥 먹고 화장실 가는 것’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저는 ‘1주일간 운동을 안 한건 1주일간 밥 못 먹었거나, 화장실 못 간 변비 상태와 같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만큼 운동은 습관을 들여야 몸에 좋다는 말이죠.

 

운동을 안 하는 사람도 문제지만, 잘못된 운동 습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문제라고 하셨는데요. 어떤 경우입니까?
30대 이후부터 운동으로 몸에 손상이 올 정도의 강도나 방법을 강행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관절이 망가지기 쉽습니다. 우리 몸은 뼈, 근육, 관절(인대·힘줄 포함)의 노화 속도가 제각기 다릅니다. 관절이 가장 먼저 노화됩니다. 30대면 노화가 시작돼요. 그 다음은 뼈, 근육 순입니다. 몸은 노화되면서 운동에 대한 한계치가 낮아지는데, 20대~30대 초반에 했던 운동습관을 고치지 않으면 관절에 쉽게 무리가 갑니다. 어렸을 때부터 운동을 꾸준히 했던 사람들은 자신의 관절이 무리하고 있다거나, 손상이 왔는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알아차리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다져진 운동으로 발달한 근육이 관절을 안정되게 잡아주기 때문에, 손상이 와도 잘 견디는 경우가 많죠.


 

정선근 교수

 

잘못된 운동으로 손상이 왔다는 걸 환자 스스로 쉽게 알아차릴만한 방법은 무엇입니까?
아주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통증’에 민감해지면 됩니다. 잘못된 운동 습관이 지속되면 디스크에 손상이 많이 옵니다. 심한 경우 디스크가 탈출하죠. 우리 몸은 잘못된 운동 습관 한두 번으로 망가지지 않습니다. 관절 손상도 마찬가지에요. 그 전에 수십 차례 경고 신호가 옵니다. 그게 통증입니다. 보통 뻐근한 느낌으로 옵니다. 가벼운 통증으로 경호 신호가 왔을 때 알아차려야 하는데, 쉽지 않습니다. 무시하거나, 운동을 통해 통증을 극복하려 하거나, 근육이 뭉친거라고 착각해 근육 이완에 집중합니다. 이렇게 되면 통증이 점점 심해지고, 관절도 망가집니다. 통증에 귀를 기울이세요.

 

통증이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심한 통증이라면 병원에 가서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해야겠죠. MRI(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해 볼 수 있고요. 때로는 MRI 검사로 완벽한 진단이 안 되기도 합니다. MRI는 흉터와 상처를 구분하지 못하거든요. 과거에 큰 디스크 탈출이 있었으면 그 것이 몸에 흉터처럼 남습니다. 이렇게 되면 현재는 별로 아프지 않아요. 조그만 디스크 탈출이라도 지금 당장 있으면 큰 통증이 있고요. 때문에 의사에게 자신의 상황이나 통증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통증이 있다면 손상이 의심되는 부분은 부담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허리가 아픈데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열심히 하면 안 되겠죠. 일정기간은 그 관절을 움직이는 운동을 피해야 합니다.

 

40대 이상에게 추천하고 싶은 운동이 있다면요?
타고나길 관절이 튼튼한 사람이 아니라면, 40대부터는 관절을 심하게 움직이지 않는 운동법이 좋습니다. 윗몸일으키기보다는 플랭크(팔꿈치와 발가락만 바닥에 닿도록 엎드려 버티는 운동), 데드리프트(덤벨·바벨 등을 들고 허리를 편 상태에서 상체를 숙였다 일으키는 운동)보다는 스쿼트를 하는 식이죠. 그 외에 엉덩이 근육을 키우는 브리징(누워서 무릎을 세운 다음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동작)도 추천합니다.

 

운동을 할 때 주의할 점은 없습니까?
빨리 걷기나 테니스 복식 같은 중강도 운동을 할 때는 일주일에 150분, 조깅이나 테니스 단식 같은 고강도 운동은 일주일에 75분 하는 게 적당합니다. 중강도 운동이면 살짝 땀이 나고, 숨이 찬 정도입니다. 몸에 통증이 없는 상태라면 고강도 운동을 추천합니다. 젊고 건강하다면 반드시 고강도 운동을 해야 하고요. 결국 운동은 몸에 적당한 스트레스를 줘서 신체를 튼튼하게 만드는 원리기 때문입니다. 몸이 튼튼할 때 운동을 꾸준히 해 놔야 나이가 들어서도 몸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고강도 운동은 운동이 끝난 42~72시간 정도 뒤에 뻐근한 근육통이 오는 정도의 강도를 뜻합니다. 고강도 운동을 할 때는 몸을 적당히 쉬어줘야 합니다. 그래야 몸이 회복할 시간이 생깁니다. 뻐근한 근육통이 오는 걸 ‘돔스(DOMS)’라고 하는데, 이렇게 되면 일주일에 75분을 한다 해도 매일 하는 게 아니라 2번 정도로 하고 나머지 시간은 쉬어줘야 합니다. 또한 운동을 하다 통증이 있다면 중단해야 합니다. 전문가의 조언이나 책 등을 통해 최대한 바른 자세,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찾는 것도 잊지 마세요.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07/2018030700852.html

조회 수 :
321
등록일 :
2018.03.14
13:04:0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363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935 억지로 하면 되레 스트레스…올바른 호흡법은? 불씨 125 2019-01-08
억지로 하면 되레 스트레스..., 올바른 호흡법은? 문헤영기자    입력 : 2019년 1월 7일 14:33     [사진=fizkes/shutterstock]   새해가 되면 새로운 마음으로 활기 넘치는 생활을 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잘해야 한다는 중압감과 압박감으로 스트레스에 시...  
934 혈관·관절·눈 건강을 방치하면 노후 삶의 質 크게 떨어져 불씨 125 2018-12-26
혈관⦁관절⦁눈 건강을 방치하면 노후 삶의 質 크게 떨어져 오누리 메디컬 리포트 기자 입력 2018.12.24. 13:05   게티이미지뱅크   비타민D 결핍되면 쉽게 골절.. 혈행개선 도움 감마리놀렌산 체내 합성 안돼 식품으로 섭취해야, 황반변성 막으려면 루테인이 중...  
933 든든한 식사가 튼튼한 노년 만든다 불씨 125 2018-11-24
든든한 식사가 튼튼한 노년 만든다 헬스경향 이원국 기자 입력 2018.11.22. 09:00 나이가 들면 신체기능이 떨어지면서 식욕이 감퇴한다. 하지만 저칼로리 고영양 음식을 섭취해야 노년기 건강을 지킬 수 있다.   노년층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식욕부진에 시달...  
932 50대 이상 노리는 '폐렴', 면역력 높여야 막는다 불씨 125 2017-11-28
50대 이상 노리는 '폐렴', 면역력 높여야 막는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50대 이상 노리는 '폐렴', 면역력 높여야 막는다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임다은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7.11.27 18:13     개인 위생을 철저히 관리해야 폐렴을 예방할 ...  
931 거의 매일 먹는 식품의 건강 섭취량 불씨 125 2017-03-31
거의 매일 먹는 식품의 건강 섭취량| Daum라이프 거의 매일 먹는 식품의 건강 섭취량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3.30 18:08       건강과 관련된 정보가 넘치고 있다. 자주 먹는 음식에서부터 운동, 휴대폰 사용, TV시청에 이르기까지 건강에 영향을 ...  
930 수명은 유전으로 결정? 생활방식으로 단명 유전자 60% 상쇄 가능 불씨 124 2024-05-02
수명은 유전으로 결정? 생활방식으로 단명 유전자 60% 상쇄 가능 오상훈 기자2024. 5. 1. 10:00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수명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건강한 생활방식이 유전적 요인의 영향력을 60% 이상 상쇄하고 수명을 5...  
929 전자레인지서 '이만큼' 떨어져야 전자파 안전 불씨 124 2023-11-16
전자레인지서 '이만큼' 떨어져야 전자파 안전 이지원입력 2023. 11. 11. 20:20수정 2023. 11. 11. 21:50       가정에서 해로운 전자파 줄이는 방법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음식에 쏘아 가열하는 조리방식으로 전자파 발생량이 매우 높다. 따라서 조리 ...  
928 10월 19일부터 코로나19 무료 접종 실시…“신규백신 활용” 불씨 124 2023-09-27
10월 19일부터 코로나19 무료 접종 실시…“신규백신 활용” 신주희입력 2023. 9. 26. 15:40       [질병관리청] 오는 10월 19일부터 전국 의료기관과 보건소 등에서 코로나19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26일 “이번 접종의 목표는 65세 ...  
927 손톱 아래 32종 곰팡이가? 귀찮다고 제때 안 깎았다간 ‘이런 위험’ 불씨 124 2023-07-22
손톱 아래 32종 곰팡이가? 귀찮다고 제때 안 깎았다간 ‘이런 위험’ 이해림 기자입력 2023. 7. 18. 05:00       긴 손톱 아래엔 폐렴균, 요도감염균, 효모균, 황색포도상구균 등 다양한 균이 서식할 수 있으므로, 지나치게 길어지기 전에 깎아야 한다./사진=클...  
926 “임종 순간까지 아프지 않으려면, 노쇠 관리 시작해야…” [헬스조선 명의] 불씨 124 2023-06-22
“임종 순간까지 아프지 않으려면, 노쇠 관리 시작해야…” [헬스조선 명의] 오상훈 기자입력 2023. 6. 19. 07:00       '헬스조선 명의 톡톡' 명의 인터뷰 '노쇠 명의' 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 김광일 교수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독 안락사를 원하는 비율이 ...  
925 일어나서 기지개 한 번, ‘이런 효과’ 가져다준다 불씨 124 2023-04-17
일어나서 기지개 한 번, ‘이런 효과’ 가져다준다 전종보 기자입력 2023. 4. 16. 18:3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활기차게 하루를 열고 싶다면 아침에 일어나 기지개를 켜보자. 졸리고 정신이 없어도 한 번씩 기지개를 켜면 잠에서 깨는 것은 물론, 혈액순환...  
924 상처관리와 흉터예방…이건 ‘꼭’ 알아야 불씨 124 2023-04-09
상처관리와 흉터예방…이건 ‘꼭’ 알아야 임태균입력 2023. 4. 8. 05:01       포비돈 요오드 등 소독제는 고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있어 상처 치유를 방해하기 때문에 소독할 때는 상처 주변 피부에만 바르는 게 좋다. 게티이미지뱅크상처는 몸을 다쳐 부상을 입...  
923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건강수칙 6 불씨 124 2022-10-26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할 건강수칙 6 정희은입력 2022. 10. 23. 08:10     평생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먹거리부터 조심하고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길게 아프면서 산다면 장수의 의미가 퇴색된다. 수명도 중요하지...  
922 환절기에 증가하는 심혈관질환.. '생활습관' 개선으로 예방해야 불씨 124 2022-09-26
환절기에 증가하는 심혈관질환.. '생활습관' 개선으로 예방해야 성진규입력 2022. 9. 25. 14:31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가 되면, 일교차가 커지며 날씨에 큰 변화가 생긴다. 이렇게 날씨가 변동되는 시기에는 인체도 주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생리적 변화를 ...  
921 걷기, 올가을엔 정말 제대로 해볼까? 불씨 124 2022-08-31
걷기, 올가을엔 정말 제대로 해볼까? 김영섭입력 2022.08.30. 07:11수정 2022.08.30. 08:53     나이든 사람들의 맞춤형 4주 걷기 프로그램은 이렇게..   올 가을엔 제대로 한 번 걸어볼까? 발에 잘 맞는 운동화를 신고 4주 걷기 프로그램을 실천해보자.[사진=...  
920 앉아서 TV 오래 보면 '이런' 위험이?(연구) 불씨 124 2022-08-25
앉아서 TV 오래 보면 '이런' 위험이?(연구) 정희은입력 2022.08.24. 19:31             앉아 있더라도 어떤 활동을 하는지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면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  
919 과학이 알아낸 장수하는 생활방식, 그리고 식품 불씨 124 2022-05-30
과학이 알아낸 장수하는 생활방식, 그리고 식품 권순일 입력 2022. 05. 29. 10:36 수정 2022. 05. 29. 19:40 댓글 19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즉 건강 장수는 사람들의 가장 큰 소망 중 하나다. 하지만 이런 장수를 보장하는 마법...  
918 고기는 구워야 맛있는데.. 몸의 변화가? 불씨 124 2022-05-10
고기는 구워야 맛있는데.. 몸의 변화가? 김용 입력 2022. 05. 07. 12:0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소고기, 돼지고기 등을 먹을 때 직화구이를 고집하는 사람이 있다. 육류의 맛은 구이로 먹을 때 '최고'라는 사람이다. 닭고기는 튀김만 찾는다. 수십 년 동안...  
917 '깜짝 추위' 속 건강 사수 비법.. '이 곳' 온도 높여야 불씨 124 2021-11-30
'깜짝 추위' 속 건강 사수 비법.. '이 곳' 온도 높여야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11. 25. 08:30     척추 온도를 높이면 추운 날에도 부상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 월요일 이후 갑자기 기온이 뚝 떨어졌다. 이럴 때...  
916 꾸준히 하던 운동..잠깐 쉬어야 할 때는? 불씨 124 2021-11-12
꾸준히 하던 운동..잠깐 쉬어야 할 때는? 권순일 입력 2021. 11. 08. 08:06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현대인의 건강 문제는 대개 운동 부족에서 비롯한다. 연구에 따르면, 운동이 생활화돼 있는 미국의 경우에도 성인의 4분의 1만이 보건당국이 권고하는 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