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카드뉴스] 3대 실명 질환 파헤치기 Ⅱ '황반변성'| Daum라이프

[카드뉴스] 3대 실명 질환 파헤치기 Ⅱ '황반변성'

헬스조선 | 기획 | 헬스조선 카드뉴스팀 | 입력 2017.08.18 10:16

 

 

20170818101612314zvtf.jpg20170818101612506daek.jpg20170818101612679aumb.jpg20170818101612858yvbw.jpg20170818101613054cjvu.jpg20170818101613228sznp.jpg20170818101613384xuxo.jpg20170818101613589zlct.jpg20170818101613800nmfy.jpg

시력의 무려 90%를 담당하는 ‘황반’ 직경 3㎜ 정도 크기의 작은 부위이지만,

시세포와 시신경이 집중적으로 모여 있어 사물의 형태, 색을 구별하는 역할을 하죠.

이 황반에 여러 원인으로 변성이 일어나 시력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인 ‘황반변성’

3대 실명 질환으로 꼽히는 황반변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황반변성 원인

황반변성의 가장 큰 원인은 눈의 노화입니다.

그 외 유전적 소인(가족력), 흡연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비만과 당뇨병 역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데요.

혈중 콜레스테롤이 높으면 망막에 신생혈관이 생겨나는 등 망막 전체의 건강이 나빠지기 때문입니다.

 

황반변성 증상

황반변성의 특징적 증상은 반듯하게 보여야 할 사물들이 휘거나 삐뚤어져 보이는 현상입니다.

증상이 심해질 경우 신문의 글씨가 부분부분 보이지 않거나,

눈앞에 검은 구멍이 나타나 시야에 큰 지장을 주는 등의 문제가 일어납니다.

 

황반변성의 종류①

-건성(비삼출성) 황반변성-

 

망막에 드루젠(노폐물)이 쌓여 병변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점진적인 시력 소실이 나타나게 되고

황반 부위가 위축 및 손상되면서 심각한 시력 저하를 일으킵니다.

전체 황반변성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건성 황반변성은

시력이 급격히 악화되지는 않지만, 추후 습성 황반변성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황반변성의 종류②

-습성(삼출성) 황반변성-

 

망막 바깥쪽 맥락막에서 기원한 혈관이 망막 아래로 증식하다가 출혈이나 삼출물의 누출을 일으킵니다.

급격한 시력감소,

변형시(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

중심암점(시야 중심부가 어둡게 보이는 증상)

등의 증상을 야기합니다.

건성 황반변성보다 시력장애가 훨씬 빠르고 심각하게 나타나며,

시세포 조직 파괴와 심각한 시력 저하가 나타나지요.

 

황반변성의 치료

황반변성 치료에는 항체주사인 ‘아바스틴’과 신생혈관이 자라지 않게 하는 ‘루센티스’,

신생혈관을 파괴하는 ‘레이저 광응고술’이 있습니다.

황반변성은 치료 방법이 계속 발전하고 있으나, 현재는 완전한 치료가 어렵습니다.

이미 손상된 시력은 되돌릴 수 없으므로, 무엇보다도 예방이 최선책입니다.

 

황반변성을 예방하는 생활습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확실한 대처법은 눈에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입니다.

 

1) 평소 항산화제 풍부한 녹황색 채소 섭취

: 아사이베리, 블루베리, 자두, 딸기, 콩, 사과, 키위, 케일, 브로콜리, 달걀노른자

 

2) 야외에서 선글라스 착용

 

3) 금연 + 규칙적 운동

 

4) 40세 이후 1년에 한 번씩 안과검진 필수

“황반변성은 망막에 노폐물이 쌓이며 신경조직인 황반의 기능이 떨어지고

시력이 저하되면서 심할 경우 실명을 일으키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한국망막학회는 국내 황반변성 환자가

약 1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만큼, 예방이 중요합니다.”

 

-아이러브안과 박영순 원장-

황반변성.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

그리고 적절한 영양소 섭취를 통한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조회 수 :
188
등록일 :
2017.08.19
10:51:30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718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7 손가락 요가 손가락만 잘 움직여도 불면증·위장장애 좋아져요 불씨 493 2017-08-31
손가락 요가 손가락만 잘 움직여도 불면증·위장장애 좋아져요| Daum라이프 손가락 요가 손가락만 잘 움직여도 불면증·위장장애 좋아져요 헬스조선 |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8.31 09:00   손에는 여러 장기의 기능을 주관하는 경락(經絡)이 분포해 ...  
376 [생활팁] 세균이 득실거리는 생활필수품 6가지와 관리법 불씨 152 2017-08-30
[생활팁] 세균이 득실거리는 생활필수품 6가지와 관리법| Daum라이프 [생활팁] 세균이 득실거리는 생활필수품 6가지와 관리법 세계일보 | 박윤희 | 입력 2017.08.23 14:50     과거에는 식당이나 병원에서 볼 수 있던 청결 제품들을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이 흔...  
375 약 오래 먹을 때 챙겨야 하는 영양소 불씨 118 2017-08-30
약 오래 먹을 때 챙겨야 하는 영양소| Daum라이프 약 오래 먹을 때 챙겨야 하는 영양소 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8.29 16:30       아스피린을 오래 먹으면 비타민C가, 당뇨병약을 오래 먹으면 비타민B12가 부족해질 수 있다/사진=헬스조...  
374 안경 렌즈, 흠집 없이 관리하는 4가지 방법 불씨 283 2017-08-30
안경 렌즈, 흠집 없이 관리하는 4가지 방법| Daum라이프 안경 렌즈, 흠집 없이 관리하는 4가지 방법 헬스조선 | 헬스조선 편집팀 | 입력 2017.08.29 17:46 | 수정 2017.08.29 17:59       안경을 낀 채 사우나나 찜질방에 오래 있으면 렌즈 표면 코팅이 벗겨질...  
373 소변 본 후 손 안 씻으면 어떻게 될까? 불씨 475 2017-08-29
소변 본 후 손 안 씻으면 어떻게 될까?| Daum라이프 소변 본 후 손 안 씻으면 어떻게 될까? 헬스조선 | 헬스조선 편집팀 | 입력 2017.08.28 15:20 | 수정 2017.08.28 15:24       소변 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세균 감염을 막을 수 있다/사진=헬스조선 D...  
372 운동 효과 떨어뜨리는 식습관 3 불씨 104 2017-08-29
운동 효과 떨어뜨리는 식습관 3| Daum라이프 운동 효과 떨어뜨리는 식습관 3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8.29 07:56       운동을 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탄탄한 몸매를 갖춘 몸짱이 되는 것이다. 몸짱을 목표로 피트니스센터에 등록하고 트레이너의 ...  
371 100세 시대의 적, 노안(老眼) 해결책은? 불씨 95 2017-08-29
100세 시대의 적, 노안(老眼) 해결책은?| Daum라이프 100세 시대의 적, 노안(老眼) 해결책은? 헬스조선 |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8.29 09:01     [헬스조선과 아이러브안과가 함께하는 행복한 노년을 위한 눈 건강 체크 포인트④]   역사상 가장 눈...  
370 밥 빨리 먹으면 안 되는 이유 불씨 255 2017-08-28
밥 빨리 먹으면 안 되는 이유| Daum라이프 밥 빨리 먹으면 안 되는 이유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8.27 12:36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행위에서 속도의 변화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뉴질랜드에서 실...  
369 무시하면 큰일 나는 통증 3 불씨 97 2017-08-28
무시하면 큰일 나는 통증 3| Daum라이프 무시하면 큰일 나는 통증 3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8.28 07:58       몸에서 보내는 이상 신호인 통증을 간과했다가는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멘스 헬스'가 결코 무시해서는 안 되는 통...  
368 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 불씨 74 2017-08-28
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 Daum라이프 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 Medical 감염병 관리헬스조선 | 이현정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8.28 08:00     질병관리본부는 2017년 하반기 주의해야 할 10대 감염병과 예방수칙을 발표했다...  
367 면역력 높여주는 식재료 BEST 6 불씨 116 2017-08-27
면역력 높여주는 식재료 BEST 6| Daum라이프 면역력 높여주는 식재료 BEST 6 키즈맘 | 박미란 | 입력 2017.08.25 16:06   [ 박미란 기자 ]     일교차가 심한 환절기, 면역력이 높을수록 감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으로부터 몸을 지킬 수 있다. 면역력은 규칙적...  
366 암 예방과 치료, 바른 식단이 답이다 불씨 177 2017-08-27
암 예방과 치료, 바른 식단이 답이다| Daum라이프 암 예방과 치료, 바른 식단이 답이다 코메디닷컴 | 김용 | 입력 2017.08.26 08:58       -소화기암 환자를 위한 바른 식단 캠페인 10월 21일 개최 -대한소화기암학회, 한국임상영양학회 공동 주최   암 환자와...  
365 아침식사 건너뛰면 일어나는 3가지 불씨 113 2017-08-27
아침식사 건너뛰면 일어나는 3가지| Daum라이프 아침식사 건너뛰면 일어나는 3가지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8.26 10:38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아침마다 반복하는 고민이 있다. 일어나서 밥을 먹을까, 아니면 아침식사를 포기하고 10분 더 잘까 ...  
364 잇몸병 일으키는 세균 없애는 법 4가지 불씨 128 2017-08-26
잇몸병 일으키는 세균 없애는 법 4가지| Daum라이프 잇몸병 일으키는 세균 없애는 법 4가지 코메디닷컴 | 문세영 | 입력 2017.08.25 10:50                      
363 노년층에서 임플란트 시술 받기 전 '이것' 꼭 체크해야 불씨 120 2017-08-26
노년층에서 임플란트 시술 받기 전 '이것' 꼭 체크해야| Daum라이프 노년층에서 임플란트 시술 받기 전 '이것' 꼭 체크해야 헬스조선 |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8.25 16:17 | 수정 2017.08.25 22:07       노년층에서 임플란트를 할 때는 전신질환 ...  
362 소시지서 E형 간염 바이러스.. 걸리면 어떻게 되나? 불씨 107 2017-08-26
소시지서 E형 간염 바이러스.. 걸리면 어떻게 되나?| Daum라이프 소시지서 E형 간염 바이러스.. 걸리면 어떻게 되나? E형 간염의 모든 것헬스조선 |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8.25 16:34 | 수정 2017.08.25 17:00       조선일보 DB   유럽에서 비가...  
361 "문재인 케어, 민간 의료 보험에 철퇴" 불씨 137 2017-08-25
"문재인 케어, 민간 의료 보험에 철퇴"| Daum라이프 "문재인 케어, 민간 의료 보험에 철퇴" 코메디닷컴 | 도강호 | 입력 2017.08.25 10:08   지난 9일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문재인 케어'로 불리는 새로운 의료 정책...  
360 속 쓰림 증상 차단하는 방법 4 불씨 157 2017-08-25
속 쓰림 증상 차단하는 방법 4| Daum라이프 속 쓰림 증상 차단하는 방법 4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8.24 14:23       속 쓰림은 음식물이나 위산이 거꾸로 이동해 식도가 불타는 듯 작열감이 일어나는 증상이다. 증상이 심해지면 입 냄새가 나고, 더...  
359 걷기, 기분 개선에 탁월한 효과 불씨 97 2017-08-25
걷기, 기분 개선에 탁월한 효과| Daum라이프 걷기, 기분 개선에 탁월한 효과 코메디닷컴 | 권순일 | 입력 2017.08.25 09:06       걷기가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루에 몇 분만 걸어도 기분이 긍정적 방향으...  
358 모든 의료비에 건강보험 적용 언제, 무엇부터 실시하나 불씨 273 2017-08-24
모든 의료비에 건강보험 적용 언제, 무엇부터 실시하나| Daum라이프 모든 의료비에 건강보험 적용 언제, 무엇부터 실시하나 MEDICAL 핫이슈헬스조선 |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7.08.24 09:01     보건복지부는 국민들의 의료비 부담을 낮추고 고액 의...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