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장학회소식

4870.jpg

 

총선거가 끝났습니다.
각 정당이 얻은 의석수를 보면서 민심은 천심이라는 옛말이 새삼스럽게 
생각납니다. 절묘하기 짝이 없습니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전국의 투표율이 46%라고 발표했습니다. 
역대 선거 사상 가장 낮은 기록입니다
과반수라는 숫자가 의미를 갖는 대의민주주의에 
과반수 이상 국민이 참여하지 않은 이번 선거는 분명히 문제가 있습니다.

홍수 속에 마실 물이 귀한 것처럼 
넘치는 인재들과 공약 속에 국민들은 올바른 사람과 진정한 정치에 
목마릅니다.

우리 인생은 목마름의 연속입니다
모든 것을 갖게 되면 이 갈증이 해소되리라하고 밤낮으로 수고합니다.
재물을 갖게 되면 그렇게 될 수 있다하고 귀중한 시간도 소중한 사람도 
버립니다.
명예를 얻게 되면...
원하는 사람과 결혼을 하게 되면...
그러나 이런 소원이 이루어지더라도 만족감은 평생 지속되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우리의 목마름이 소유하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소유하는 것은 아무리 많아도 만족이 없습니다.
소유하는 것은 욕심이고 그 욕심은 끝이 없는 신기루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분이 얘기하더군요.
시선이 닿는 곳 주변에 무지개 빛이 보이면 녹내장 증세가 있답니다.
시야가 흐려져 뿌옇게 보이면 백내장 증세를 의심해도 된답니다.
아무런 이상이 없이 사물이 제대로 보일 때 눈은 정상이고 눈에 대해서 
알려고도 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런 장애가 있을 때 우리는 눈에 이상이 있음을 발견하고 
건강한 눈을 찾기 위해 애를 씁니다.

갖는 것의 모든 대상은 눈의 이상과도 같습니다.
갖는 것의 속성을  알 때 우리는 근원적인 것을 알려고 합니다.
진정한 갈증의 원인은 삶에 이상을 느끼고 근원적인 것을 
찾기 위한 자각 증세인 것입니다

삶이란 자기 정체성을 아는 과정입니다
아는 것은 행하는 것의 시작이고 행하는 것은 아는 것의 완성인 것입니다

  봄이 무르익습니다. 
회원님의 삶도 무르익기 바랍니다.




                                           2008. 04. 10   임동신 올림



-감사합니다. (3/1~3/31 입금순, 존칭은 생략합니다.) *연 회 비 : 고홍석, 김희수, 곽명숙, 윤영분, 박두정, 이승우, 김훈주, 남한우, 박숙자, 정성욱, 이종경, 성열훈, 고대성, 문제호, 문홍주, 조유현, 이청자, 김귀화, 성한악기 *월 회 비 : 한승섭, 최갑순(2달), 민 걸(2달), 한이숙, 김소연, 이병철, 박기창, 김민재, 이수형, 백연우, 임금순, 최화숙, 이준형, 장인송, 송선경, 정춘희, 대한감정법인(2달), 여화숙, 김현주, 김영호, 조명임, 강정임, 천경기, 대한감정직원, 김기정가족, 임유성, 박성은, 백수경, 박성진, 이환익, 최종철, 이태현, 이지선, 김경남, 이 삼, 정파진, 한형석, 서용운(2달), 한윤경, 정성재, 박금옥, 김정숙, 장애리, 이향숙, 지영숙, 박시원, 정광진, 김귀근, 김성수, 김현숙, 물망초모임(2달), 윤영숙(2달), 윤보선, 조영자, 안경진, 채광식, 이순자, 한마음모임, 선왕주, 이자형, 설진이, 서안나, 정대선, 이경희, 심재안, 서수근, 최규열, 김수연, 박종옥(b) *특지장학금 : 최두선 *특별회비 : 윤기(3,000,000원)

-삼가조의를 표합니다. * 3월 11일 서해룡 님(감정평가사) 부친소천

-동참을 환영합니다. * 3월 1일 최광웅 님 추천: 백종천(공직자) 임동신 님 추천: 한화길 님(교수)/ 유승렬 님(직장인) / 황대우 님(직장인) 최화숙 님 추천: 이청자 님(주부) 김정화 님 추천: 신금화 님(세무사)

-축하합니다.- * 3월 29일 이광동 님 차녀 지선양 결혼 * 4월 5일 김정화 님(본회 재무국장) 장녀 지현양 결혼

-온라인구좌 국민은행 652301-90-200500 외환은행 093-13-02757-8 제일은행 276-10-035537 우리은행 118-05-030631 농 협 045-01-070775 신한은행 396-11-004773

profile
조회 수 :
535
등록일 :
2009.01.17
18:11:47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6845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138 횃불장학회 2016년 6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504 2016-06-11
 
137 횃불장학회 2016년 5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503 2016-05-15
 
136 횃불장학회 2016년 4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93 2016-04-05
 
135 횃불장학회 2016년 3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77 2016-03-06
 
134 2016년 2월 모시는 글 file 횃불 753 2016-02-06
 
133 횃불장학회 2016년 1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73 2016-01-14
 
132 횃불장학회 2015년 12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70 2015-12-12
 
131 횃불장학회 2015년 11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53 2015-11-07
 
130 횃불장학회 2015년 10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40 2015-10-11
 
129 횃불장학회 2015년 9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26 2015-09-06
 
128 횃불장학회 2015년 8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15 2015-08-09
 
127 횃불장학회 2015년 7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14 2015-07-06
 
126 횃불장학회 2015년 6월 소식지입니다 file 횃불 471 2015-06-27
 
125 횃불장학회 2015년 5월 소식입니다 횃불 504 2015-05-12
갑자기 여름이 되어버린 느낌입니다. 올해는 봄이 온데간데없고 갑자기 수은주가 섭씨 25도를 훌쩍 넘어버리니, 거리에는 겨울 패딩부터 반소매 티셔츠까지 옷차림이 다양하고, 진달래 개나리 목련 벚꽃 등 봄의 전령사들도 헷갈리고 있습니다. 청년 취업이 ...  
124 횃불장학회 2015년 4월 소식입니다. 횃불 488 2015-04-19
새봄이 남쪽의 꽃소식과 함께 왔습니다. 메말랐던 가지에 개나리가 함박웃음을, 양지바른 곳에 하얀 목련이, 여의도에는 봄의 여왕 벚꽃이 상륙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세상은 아직 잿빛이지만 화사한 봄빛은 변함없이 우리 곁으로 찾아왔습니다. 광복 70주...  
123 횃불장학회 2015년 3월 소식입니다. 횃불 588 2015-03-24
입춘은 절기상 봄을 알려줍니다. 그러나 계절을 기준으로 하면 3월 1일부터 봄은 시작합니다. 그동안 겨울을 잘 이겨내고 봄을 맞으신 회원님의 가정과 직장에 문안 인사드립니다. 지난 2월12일 저희 모임의 창립 28주년 기념식과 장학금 전달식이 있었습니다...  
122 횃불장학회 2015년 1월 소식입니다. 횃불 491 2015-01-30
2015년 새해가 다시 밝았습니다. 해방이 오면 삼각산이 일어나 춤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치고, 목숨이 끊어지기 전이라면 밤하늘의 까마귀처럼 종로의 인경을 들이받아 두개골이 깨어져도 여한이 없겠다는 심 훈 시인의 그날이 일흔 번을 맞는 해입니...  
121 횃불장학회 2014년 12월 소식입니다. 횃불 506 2014-12-12
12월 첫날 눈이 제법 내렸습니다. 서해안 남쪽 지방은 설국이 되었습니다. 금년도 무척이나 다사다난 했습니다. 올해 일 년 동안 염려와 정성으로 돌보아주신 회원님 한분 한분께 감사드립니다. 새해가 왔다면 또 년 말이 오듯이 세상일에는 반드시 시작과 끝...  
120 횃불장학회 2014년 11월 소식입니다. 횃불 485 2014-11-14
계절을 품고 있는 푸른 하늘에 가을 기운이 가득합니다. 여름 내 녹음을 자랑했던 나무들도 무성했던 옷을 벗기 시작합니다. 보도 위에 노란 은행잎이 융단처럼 깔렸습니다. 지난 달 26일은 105년 전, 안중근 의사가 일본의 이또오 히로부미를 저격한 날입니...  
119 횃불장학회 2014년 10월 소식입니다. 횃불 459 2014-10-13
오늘이 개천절입니다. 지금부터 4347년 전 단군께서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우신 날입니다. 그러나 반만년 역사의 우리 조국은 세월호 사건이후 아직도 달라진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요즈음 세계각처에서는 전쟁과 분규가 잠시 쉴 날이 없습니다. 특히 중동 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