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계속 졸려요" 봄마다 찾아오는 춘곤증, 부정맥 신호탄?

 

권대익 입력 2021. 03. 28. 08:20

 

봄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춘곤증은 다양한 질환의 신호탄일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봄을 제대로 즐기지 못해 아쉬운 요즘, 우리 몸은 벌써 계절의 변화를 느끼며 다양한 증상을 겪게 된다. 대표적인 증상인 피로감은 새로운 환경에 우리 몸이 어떻게 대처해야 된다는 권고이자 질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일 수 있다.

춘곤증은 몸이 적응하면서 발생하는 생리적인 피로감이다. 일시적인 환경 부적응으로 2주 이내 없어진다. 피로감, 나른함, 집중력 저하 등이 나타나며, 심할 때에는 두통, 식욕부진, 소화불량까지 생긴다.

황경진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햇빛을 보지 않고 일하는 직장인, 운동하지 않거나 과로ㆍ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사람이 쉽게 춘곤증을 느낄 수 있다”며 “점심시간 이후 심한 피로감을 호소하는데, 이는 식곤증이 동시에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했다.

춘곤증에는 점심 식사 후 30분 정도 스트레칭·가벼운 운동, 10~20분 정도의 낮잠이 정상적인 컨디션을 회복하는 데 도움될 수 있다. 피로감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느낄 정도로 극심한 피로와 심한 졸음이 생긴다면 수면장애를 포함해 다양한 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김선형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춘곤증은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신호”라며 “원인이 뚜렷하지 않다면 간염, 당뇨병, 폐결핵, 빈혈, 갑상선 질환 등의 초기 증상일 수 있으므로 검진을 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유심히 지켜봐야 할 두 번째 증상은 ‘기온 변화’에 따른 심장박동이다. 꽃샘 추위로 일교차가 큰 요즘에는 ‘돌연사 주범’으로 불리는 부정맥(不整脈ㆍarrhythmia)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몸이 계절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심장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정상 맥박은 성인 기준으로 심방과 심실이 1분당 60~80회를 규칙적으로 뛴다. 평소 우리는 심장 박동을 의식하지 못하지만, 정상을 벗어나 평소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뛰면 이상이 생긴 것이다. 불규칙한 심장 박동이 바로 부정맥이다. 원인은 유전ㆍ노화ㆍ스트레스ㆍ과음 등 다양하다.

김진배 경희대병원 심장혈관센터 교수는 “부정맥의 가장 흔한 유형은 심장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빠른 빈맥에 속하는 심방세동(心房細動ㆍatrial fibrillation)”이라며 “심방세동의 30% 정도는 가슴 두근거림, 어지럼증 등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해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고 했다.

심방세동을 진단하려면 24시간 심전도 모니터링 검사와 정기적인 검사가 최우선이다. 진단 후에는 약물 치료를 우선 시행하고 필요 시 전극도자 절제술로 치료를 진행한다.

부정맥은 최악의 경우 졸도와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지만, 초기에 진단하면 쉽게 치료할 수 있다. 심실빈맥(心室頻脈ㆍventricular tachycardia)으로 급성 심정지를 경험했거나 심부전에 대한 약물치료를 3개월 이상 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1·2차 예방을 위해 ‘삽입형 제세동기(除細動機ㆍ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ㆍICD)’를 넣을 것을 권장한다.

부정맥으로 인한 심장마비 발생한다면 재빨리 심장의 미세한 떨림인 세동(細動)을 없애야 한다. 미세를 빨리 없애지 않으면 뇌 손상으로 장애 후유증이나 의식불명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급사 고위험군에게 삽입형 제세동기(ICD)를 넣는 것이 필수적이다.

김진배 교수는 “부정맥을 예방하려면 외출할 때 보온에 각별히 신경 쓰고, 기온이 낮은 새벽 시간대의 야외 활동은 자제해야 한다”며 “과로와 과음, 흡연 등은 삼가고 심장 박동을 급격히 높이는 흥분 상태나 과도한 신체 활동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출처:   https://news.v.daum.net/v/20210328082003486

조회 수 :
161
등록일 :
2021.03.30
06:40:46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19149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1865 100세 시대 중요한 '혈관' 건강…혈관 나이 자가 체크법 불씨 136 2017-12-15
100세 시대 중요한 '혈관' 건강…혈관 나이 자가 체크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100세 시대 중요한 '혈관' 건강…혈관 나이 자가 체크법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7.12.14 13:45     100세 시대를 맞아 혈관 건강이 중요해졌다. 사진-헬스조선DB  ...  
1864 새해 수명 늘리는 방법 5 불씨 136 2018-02-23
새해 수명 늘리는 방법 5 새해 수명 늘리는 방법 5   입력 F 2018.02.17 11:51 수정 2018.02.17 11:51   대부분의 사람은 건강하게 100세 장수를 누리면서 미래의 세계를 보고 싶은 소망을 갖고 있다. 이런 목표를 이루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액티브비트닷컴...  
1863 일상 움직임 2주간 제한 했더니, 심장·폐 기능 감소 불씨 136 2018-04-07
일상 움직임 2주간 제한 했더니, 심장·폐 기능 감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일상 움직임 2주간 제한 했더니, 심장·폐 기능 감소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30 10:56   단지 2주 동안 움직임을 제한했음에도 건...  
1862 젊음을 오래 유지하는 사람의 특별한 비결 4 불씨 136 2018-11-28
젊음을 오래 유지하는 사람의 특별한 비결 4 권순일 기자     2018.11. 24. 10:20  [사진=Goran Bogicevic/shutterstock]   사람들은 누구나 젊음을 오래 유지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단지 한 가지 방법으로는 노화를 막을 수 없다. 이와 관련해 ‘폭스뉴스닷컴...  
1861 [새해건강달력]"건강한 2019년을 위하여"..월별 건강수칙 불씨 136 2019-01-03
[새해건강달력]"건강한 2019년을 위하여"..월별 건강수칙 헬스경향 유대형 기자 ubig23@k-health.com 입력 : 2019.01.01 12:11:00 어느덧 새해가 찾아왔다. 2019년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월별로 건강주의사항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사진출처 : 셔터스톡...  
1860 [Weekend 헬스]"방금 들은 이야기인데 뭐였더라"… 건망증, 생활습관부터 바꾸세요 불씨 136 2019-03-15
[Weekend 헬스]"방금 들은 이야기인데 뭐였더라" ... 건망증, 생활습관부터 바꾸세요 파이넨셜뉴스  기사입력 2019년 3월 14일 18:40   오늘도 깜박하셨나요?..건망증, 생활습관부터 바꾸세요 잦은 스마트폰 사용, 직장·학교서 겪는 스트레스 등 원인 다양 음...  
1859 백세시대, 오랫동안 편히 숨쉬려면 '폐'에 관심을 불씨 136 2019-06-23
백세시대, 오랫동안 편히 숨쉬려면 '폐'에 관심을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06.21. 14:42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세계 사망 원인 4위인 질환으로 방치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사진=헬스조선 DB     미세먼지와 각종 오염물질...  
1858 일 잘하면서 건강도 지키는 비결 5 불씨 136 2019-07-04
일 잘하면서 건강도 지키는 비결 5 권순일 입력 2019.06.28. 09:01 [사진=Veres Production/shutterstock]     사무실에서 하루 종일 앉아서 시간을 보내는 건 노동 생산성은 향상시킬 수 있을지 모르지만 건강에는 적이다. 오랫동안 책상을 지키고 앉아 있는 ...  
1857 [오늘의 건강] 열대야, 숙면 위한 6가지 팁 불씨 136 2019-08-01
[오늘의 건강] 열대야, 숙면 위한 6가지 팁 이지원 입력 2019.07.31. 06:30       곳곳에서 소나기 내리지만, 뜨거운 대지 식히지 못한다. 아침 최저 22~28도, 낮 최고 28~35도. 대구 경북지역이 특히 덥겠다. 밤에는 열대야 나타나는 곳 많겠다.   열대야의 ...  
1856 스트레스 다스리는 법 7 불씨 136 2020-05-20
스트레스 다스리는 법 7 이용재 입력 2020.05.19. 08:41     [사진=VGstockstudio/gettyimagebank]   자고 일어나도 개운치가 않은가? 자꾸 감기에 걸리나? 먹는 것도 없는데 자꾸 살이 찌는가? 스트레스 때문일 수 있다. 만병의 근원 스트레스, 어떻게 관리해...  
1855 탈수가 부르는 질병.. 목마르지 않아도 물 마셔야 하는 이유 불씨 136 2020-07-08
탈수가 부르는 질병.. 목마르지 않아도 물 마셔야 하는 이유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07.06. 08:00 댓글 2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탈수는 신장결석, 암 등 각종 질병과 관련이 있다...  
1854 힘 잃은 근육, 노화 아닌 건강 적신호? 불씨 136 2021-02-24
힘 잃은 근육, 노화 아닌 건강 적신호? 김수현 입력 2021. 02. 20. 16:01 댓글 57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사진=게티이미지뱅크]근육은 우리 몸을 움직이게 하는 필수 요소다. 근육이 약...  
1853 코로나19 시대의 노인 건강관리 요령 불씨 136 2021-08-25
코로나19 시대의 노인 건강관리 요령 김문석 기자 입력 2021. 08. 24. 14:42     [스포츠경향] 면역기능이 떨어지는 노인층의 경우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치명률이 젊은 층에 비해 훨씬 높을 수밖에 없다. 노인층의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고 있지만, 집단면역...  
1852 관절 손상 막는 작은 습관 5 불씨 136 2021-09-27
관절 손상 막는 작은 습관 5 이용재 입력 2021. 07. 21. 17:51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관절염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연골이 닳으면서 발생하는 퇴행성 관절염. 그리고 자가 면역 질환의 일종이면서 활막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류머티즘성 관절염. ...  
1851 코로나19에 추위까지..집에서 하면 좋은 운동 5 불씨 136 2021-10-21
코로나19에 추위까지..집에서 하면 좋은 운동 5 권순일 입력 2021. 10. 17. 15:0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파주의보가 발령될 정도로 기온이 뚝 떨어졌다. 날씨가 추워지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비롯해 감기, 독감 등 호흡기질환 위험...  
1850 노화는 싫어..피해야 할 식품 vs 먹어야 할 식품 불씨 136 2022-04-13
노화는 싫어..피해야 할 식품 vs 먹어야 할 식품 권순일 입력 2022. 04. 12. 08:16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노화란 나이가 들면서 신체의 구조와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고 질병과 사망에 대한 감수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쇠약해지는 과정이다. 노화는 ...  
1849 면역력 관리, 마스크 속 입안부터 시작한다 불씨 136 2022-04-29
면역력 관리, 마스크 속 입안부터 시작한다 최승식 입력 2022. 04. 27. 21:58 수정 2022. 04. 28. 09:22     구강유산균, 장유산균, 피부유산균...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익균 보호가 필요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기온이 올라가면서 야외 활동을 즐기...  
1848 뼈 건강을 지키는 작은 습관들 불씨 136 2022-08-10
뼈 건강을 지키는 작은 습관들 이진경 입력 2022. 08. 09. 16:31     [ 이진경 기자 ] 뼈는 우리 몸의 주요 장기를 보호하고 움직임에 필요한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강하게 유지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평상시 작은 생활습관으로 뼈 건강을 지킬 수 있는...  
1847 두뇌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습관 6 불씨 136 2022-11-14
두뇌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습관 6 권순일입력 2022. 11. 11. 09:16수정 2022. 11. 11. 11:12     인지 능력 감퇴 속도 늦춰   나이가 들면서도 신체 활동을 활발히 하면 두뇌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나이 들어서도 삶의 질을 유...  
1846 ‘기립성 저혈압’ 자세 바뀔 때마다 혈압 요동…실신·낙상 주의 불씨 136 2023-08-14
‘기립성 저혈압’ 자세 바뀔 때마다 혈압 요동…실신·낙상 주의 김태훈 기자입력 2023. 8. 11. 20:45       겨울철보다 혈압 낮아지는 여름철에 증상 악화 가능성   어지럼증만으로 단정 어려워…자세별 혈압·맥박 정밀 진단 필요 신경계 이상 땐 치명적, 약물에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