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과생활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야 할 3가지

권순일 입력 2020. 12. 20. 15:06

 

 

[사진=kieferpix/gettyimagesbank]

[사진=kieferpix/gettyimagesbank]

 

 

스트레스를 잘 이기려면 개인의 지각이 중요하다.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기술이 부족하면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이 높아지지만, 대처 능력이 뛰어나면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덜 받게 된다. '멘털헬프닷넷' 등의 자료를 토대로 이에 대해 알아본다.

 

 

◇스트레스와 연관이 있는 질환

 

우선 스트레스와 관련이 높은 질환은 심혈관질환이다. 급성 스트레스는 심근경색, 부정맥, 혈전 형성의 위험을 높여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높인다.

 

마음이 느긋한 사람에 비해 적개심이 강한 사람은 관상동맥질환에 취약하다는 보고도 있다. 마음의 병인 정신질환도 연관성이 높다.

 

뱃속 태아일 때 경험하는 스트레스, 유년기 스트레스, 성년기에 겪는 사건들이 상호 작용해 우리 몸의 내분비계, 신경전달물질계, 면역계 등의 생물학적 체계에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손상은 유전적 취약체질을 가진 사람에게 우울증, 조현병,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나의 스트레스 수치는?

 

스트레스 수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쉽지 않지만, 오래전부터 설문 평가가 많이 사용돼왔다. 지난 1년 동안 경험한 생활 사건들의 총합으로 계산하는 '사회 재적응 평가 척도'가 대표적이다.

 

이 척도에 따르면, 배우자 사망은 100, 이혼은 73, 별거 65, 결혼 50, 은퇴 45, 임신 40, 배우자의 취업이나 실직 26, 상사와의 갈등이 23이다. 이 척도를 보면 결혼이나 임신, 취업처럼 경사스러운 일 역시 스트레스로 평가된다.

 

일상생활에 변화를 일으키는 생활 사건으로, 스트레스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점수의 합이 100점 이상이면 질병 발생 위험이 높다고 판단한다.

 

장비를 이용해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심박 변이도(HRV)'가 있다. HRV는 자율신경계의 변화에 따라 심장박동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건강한 심장과 스트레스를 받는 심장박동은 서로 다르다는 의미다. 가능한 한 가지 방법보다는 여러 방법을 사용해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스트레스를 보다 명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이다.

 

지난 일 년간 삶의 주요 사건이 발생한 것의 스트레스 지수를 모두 합하면 예상되는 건강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스트레스 지수 합계가 300점 이상이면 가까운 장래에 질병에 걸릴 위험이 80% 이상이며, 150점에서 299점 사이이면 질병에 걸릴 위험이 50%이다. 150점 미만이면 질병에 걸릴 위험이 30%로 적절한 수준으로 보고 있다.

 

 

삶의 주요 사건과 스트레스 지수 (성인 )

 

 

순위

사건

스트레스 지수

1

배우자의 사망

100

2

이혼

73

3

별거

65

4

투옥

63

5

가까운 가족의 사망

63

6

본인의 상해 또는 질병

53

7

결혼

50

8

실직

47

9

배우자와 재결합

45

10

퇴직 혹은 은퇴

45

11

가족의 건강 상태 변화

44

12

임신

40

13

성생활 문제

39

14

새로운 가족 구성원 합류

39

15

사업 조정

39

16

재무상태의 변화

38

17

가까운 친구의 죽음

37

18

부서 이동

36

19

배우자와 언쟁 증가

35

20

거액 부채

32

21

대출에 의한 압류

30

22

직업적 책임 변화

29

23

자녀 독립

29

24

시댁 혹은 처가 식구와 불화

29

25

뛰어난 개인적 성취

28

26

배우자의 취직 혹은 퇴직

26

27

입학과 졸업

26

28

생활 환경의 변화

25

29

개인적 습관 변화

24

30

상사와 갈등

23

31

노동 조건의 변화

20

32

이사

20

33

전학

20

34

취미 활동 변화

19

35

종교 활동 변화

19

36

사회 활동 변화

18

37

소액 부채

17

38

수면 습관 변화

16

39

가족 모임 회수의 변화

15

40

식습관 변화

15

41

휴가

13

42

크리스마스

12

43

가벼운 법규 위반

11

 

[참고문헌 ]

1. 크리스티나 베른트 . 유영미 옮김 . 『번아웃』. (시공사 , 2014)

2. Wikipedia. Holmes and Rahe stress scale.

3. ACC.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 Inventory of common stressors.

 

 

◇스트레스 관리법

 

평소 스트레스를 관리하려면 상황을 긍정적으로 보는 태도가 필요하다. 실제 약이 아닌 가짜 약을 먹고 치료 효과를 얻는 '위약 효과'처럼 긍정적인 태도로 상황에 대할 때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유산소운동은 가벼운 우울 증상을 호전시킬 만큼 효과적인 스트레스 해소법이므로 정기적으로 하도록 한다. 상대와 비교하기보다는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태도 역시 스트레스 자극을 완화할 수 있다.

 

 

권순일 기자 (kstt77@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조회 수 :
189
등록일 :
2020.12.30
07:21:24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www.hfire.or.kr/119095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945 눈, 마음의 창인 동시에 '건강의 창'… 눈으로 병 확인하는 법 불씨 281 2018-04-11
눈, 마음의 창인 동시에 '건강의 창'… 눈으로 병 확인하는 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눈, 마음의 창인 동시에 '건강의 창'… 눈으로 병 확인하는 법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6 14:43     사진=헬스조선 DB   눈은 마음의 창이라는 말이...  
944 테이크아웃 커피 뚜껑서도 환경호르몬… 열고 마셔야 불씨 465 2018-04-10
테이크아웃 커피 뚜껑서도 환경호르몬… 열고 마셔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테이크아웃 커피 뚜껑서도 환경호르몬… 열고 마셔야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6 09:02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사소한 습관] 스티로폼 재질 컵라면서 유해물질…...  
943 자꾸만 속 쓰린 위염, 방치하면 위암 될까? 불씨 263 2018-04-10
자꾸만 속 쓰린 위염, 방치하면 위암 될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자꾸만 속 쓰린 위염, 방치하면 위암 될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4.04 16:31     위암은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사진=헬스조선 DB   우리...  
942 혈액이 맑아야 몸이 맑다, 혈액 깨끗이 청소하는 법 불씨 216 2018-04-10
혈액이 맑아야 몸이 맑다, 혈액 깨끗이 청소하는 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혈액이 맑아야 몸이 맑다, 혈액 깨끗이 청소하는 법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4 17:42     혈액을 맑게 하려면 오메가3가 많이 든 생선을 섭취하는 게 도움이...  
941 건강검진결과지 볼 때 놓치지 말아야할 것 불씨 436 2018-04-09
건강검진결과지 볼 때 놓치지 말아야할 것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건강검진결과지 볼 때 놓치지 말아야할 것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4 11:25     올해부터 1차 검진기관에서 검진 후 고혈압 관련한 소견이 나오면 바로 병·의원에서 ...  
940 집에서 2주만 빈둥대도 심장·폐 기능 떨어진다 불씨 139 2018-04-09
집에서 2주만 빈둥대도 심장·폐 기능 떨어진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집에서 2주만 빈둥대도 심장·폐 기능 떨어진다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영국 리버풀대학 연구팀 분석   집에서 움직이지 않고 2주만 빈둥거려도 살이 ...  
939 무릎 질환, 봄에 약 18% 늘어… '과·유·불·급' 법칙 기억 불씨 141 2018-04-09
무릎 질환, 봄에 약 18% 늘어… '과·유·불·급' 법칙 기억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무릎 질환, 봄에 약 18% 늘어… '과·유·불·급' 법칙 기억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3 10:48     봄에는 겨울보다 무릎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  
938 비급여 진료비 병원별 제각각, 도수치료비 100배까지 차이 불씨 330 2018-04-08
비급여 진료비 병원별 제각각, 도수치료비 100배까지 차이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비급여 진료비 병원별 제각각, 도수치료비 100배까지 차이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2 14:23 | 수정 : 2018.04.02 14:23   심평원 자료 공개   국내 병...  
937 불면증 환자, 4년 새 34% 급증… 햇볕이 보약이다? 불씨 169 2018-04-08
불면증 환자, 4년 새 34% 급증… 햇볕이 보약이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불면증 환자, 4년 새 34% 급증… 햇볕이 보약이다?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4.02 08:00 | 수정 : 2018.04.02 13:11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   불면증을 예방하려면 ...  
936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5년째, 폐렴 입원 노인은 오히려 30% 증가 불씨 258 2018-04-08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5년째, 폐렴 입원 노인은 오히려 30% 증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5년째, 폐렴 입원 노인은 오히려 30% 증가   김진구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29 13:26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폐렴구...  
935 일상 움직임 2주간 제한 했더니, 심장·폐 기능 감소 불씨 136 2018-04-07
일상 움직임 2주간 제한 했더니, 심장·폐 기능 감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일상 움직임 2주간 제한 했더니, 심장·폐 기능 감소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30 10:56   단지 2주 동안 움직임을 제한했음에도 건...  
934 몸 숙여 식사해야 사레 막고, 목 감싸 일으켜야 탈구 예방 불씨 375 2018-04-07
몸 숙여 식사해야 사레 막고, 목 감싸 일으켜야 탈구 예방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몸 숙여 식사해야 사레 막고, 목 감싸 일으켜야 탈구 예방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30 09:13 [집에서 노부모 돌보는 방법] 침대 매트 단단하고 난간 있...  
933 '무엇'을 먹느냐 보다, '언제' 먹었느냐가 체중감량에 중요 불씨 134 2018-04-07
'무엇'을 먹느냐 보다, '언제' 먹었느냐가 체중감량에 중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무엇'을 먹느냐 보다, '언제' 먹었느냐가 체중감량에 중요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28 14:10   어떤 음식을 먹느냐 보다,...  
932 발톱무좀, 레이저 쓰면 치료 효과 ↑ 불씨 8426 2018-04-06
발톱무좀, 레이저 쓰면 치료 효과 ↑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발톱무좀, 레이저 쓰면 치료 효과 ↑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29 16:24     발톱무좀 치료에 레이저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김범준·...  
931 나이들면 입맛·식욕이 없어지는 이유 불씨 1141 2018-04-06
나이들면 입맛·식욕이 없어지는 이유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나이들면 입맛·식욕이 없어지는 이유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28 15:15     -나이가 들면, 입맛이 없어져서 식욕 부진이 생기기 쉽다. 만약 입맛이 없어서 끼니마다 충분한 ...  
930 손글씨 쓸 일 없는 '현대인', 뇌 기억 저장 능력 떨어진다 불씨 183 2018-04-06
손글씨 쓸 일 없는 '현대인', 뇌 기억 저장 능력 떨어진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손글씨 쓸 일 없는 '현대인', 뇌 기억 저장 능력 떨어진다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외울 수 있는 전화번호가 회사와 집 전화번호 뿐이고 손글씨를 쓰는 일이 거의 ...  
929 [소소한 건강 상식] 주사 맞은 후, 문지를까 말까 불씨 1754 2018-04-05
[소소한 건강 상식] 주사 맞은 후, 문지를까 말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소소한 건강 상식] 주사 맞은 후, 문지를까 말까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 2018.03.27 09:00   감기 때문에 병원에서 팔뚝에 주사를 맞으면, 간호사는 "1분 정도 문지르...  
928 장수 원한다면, 아보카도·견과류 같은 식물성 지방 먹어야 불씨 140 2018-04-05
장수 원한다면, 아보카도·견과류 같은 식물성 지방 먹어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장수 원한다면, 아보카도·견과류 같은 식물성 지방 먹어야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26 15:43   장수하려면 아보카도·견과류...  
927 60세 이상서 걸음걸이 속도 느려졌다면, 치매 걸릴 확률 높다 불씨 331 2018-04-05
60세 이상서 걸음걸이 속도 느려졌다면, 치매 걸릴 확률 높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60세 이상서 걸음걸이 속도 느려졌다면, 치매 걸릴 확률 높다   이모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 2018.03.26 16:13   보행 속도가 느려지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  
926 만성질환자 30% '약' 제때 복용 안해…"노년층, 부작용 위험 높다" 불씨 243 2018-04-04
만성질환자 30% '약' 제때 복용 안해…"노년층, 부작용 위험 높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만성질환자 30% '약' 제때 복용 안해…"노년층, 부작용 위험 높다"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美, 복약 순응도 낮아 사망하는 인구만 12만여명     만성질환자 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