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 잘못 먹으면 10년 안에 혈압과 신장이 망가집니다
된장국 한 그릇이 당신의 콩팥을 망가뜨리고 있습니다
아침에 된장국 한 그릇, 점심에는 김치찌개, 저녁엔 육개장.국물이 없으면 밥이 안 넘어간다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조심하셔야 합니다. 한국인의 식탁을 위협하는 가장 은밀한 건강의 적은 바로 국물 입니다.
우리는 국과 찌개를 너무나 당연하게 매끼 먹고 있습니다. 그런데 바로 이 국물 습관 때문에 나도 모르게 콩팥이 망가지고, 혈압이 올라가고, 혈관이 딱딱해지고 있는 것입니다.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세계보건기구(WHO) 권장량의 두 배가 넘습니다. 그리고 그 나트륨의 절반 이상은 찌개, 국, 탕, 라면 등의 국물에서 나온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된장국, 김치찌개, 감자탕… 얼마나 짤까?
된장찌개 한 그릇에는 약 1,400mg, 김치찌개에는 약 1,70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습니다. 감자탕이나 육개장처럼 진하고 자극적인 국물 음식은 2,000mg 이상에 달하기도 합니다.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하루 나트륨 섭취량이 2,000mg 이하라는 걸 생각하면, 단 한 끼의 국물로 하루 권장량을 초과하게 되는 셈입니다.
특히, 국물까지 싹싹 떠먹는 습관을 가진 분이라면, 혈압은 서서히 오르고 있고, 신장은 무리하고 있으며, 혈관 내부는 조용히 손상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증상 없이 망가지는 ‘침묵의 장기’
이 문제의 무서운 점은 증상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피곤한 줄만 알았던 증상 뒤에 고혈압이 있었고, 소화 안 되는 느낌이 신장 기능 저하의 신호였다는 걸,대부분은 병원에서 뒤늦게 알게 됩니다. 하지만 늦기 전에 바꾸면, 몸은 회복됩니다. 국물 하나만 바꿔도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콩팥을 살리는 국물 습관 3가지
된장은 오래 끓이면 발효균은 죽고, 염분만 남습니다. 그래서 국이 다 끓은 뒤, 불을 끄고 된장을 풀어 넣는 방식이 가장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된장의 풍미는 그대로 살리면서, 염분 농축을 막을 수 있습니다. 되도록 시판된 된장보다는 집된장, 생된장을 쓰는 게 더 좋습니다
![]()
국물 없이 밥 못 먹는 분들이라면, 한 숟가락에 국을 약간씩 떠서 말아 드시는 방식으로 바꿔보세요. 처음엔 싱겁게 느껴져도 2주만 지나면 혀가 바뀝니다.
실제로 한 연구에 따르면, 국물을 절반 이하로 줄인 사람들은 혈압이 평균 6~8mmHg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약 없이도 바뀔 수 있다는 뜻입니다.
표고버섯, 무, 양파, 미역, 청경채, 두부 같은 식물성 재료를 활용해 국물을 내면 나트륨 없이도 감칠맛을 살릴 수 있습니다. 특히 무+표고버섯으로 끓인 맑은국은염분 배출을 돕는 칼륨이 풍부하고, 장 건강까지 챙길 수 있습니다.
또 하나 좋은 국물은 들깨탕입니다. 들깨에는 오메가-3와 칼슘이 풍부해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 예방에도 도움 됩니다.
![]()
국물은 습관입니다. 습관은 바꿀 수 있습니다
한국인은 국물에 익숙한 민족입니다.하지만 익숙하다고 건강한 건 아닙니다.매일 무심코 떠먹는 국물 한 그릇이 혈압을 올리고, 콩팥을 망가뜨리고 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 주세요. 이제는 찌개국물을 싹싹 비우던 습관을 멈추고,건강한 재료와 건강한 방식으로 몸을 살리는 국물 습관을 시작해야 합니다. 국물 없이 못 살던 식습관,이젠 국물 때문에 오래 살 수 없는 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 저녁, 국물부터 바꿔보세요.몸은 조용히, 그러나 확실하게 반응할 것입니다.
Copyright © 최소의 레시피 All Rights Reserved